-
-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 - 한국 기업에 거버넌스의 기본을 묻다 ㅣ 서가명강 시리즈 23
이관휘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4월
평점 :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IMG_company_00.jpg)
한국 기업에 거버넌스의 기본을 묻다
21세기북스에서 출판한 이관휘 교수님의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는 재무경제학으로 바라보는 시장과 기업의 본질에 관한 주의를 환기한다. 자본주의 사회를 움직이는 가장 큰 동력의 주체는 기업이다. 기업에 대한 상품성(?)에 주목하는 다수의 견해와 주주 자본주의를 신봉하는 다수의 투자자에게 교수님은 기업의 소유권과 거버넌스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는 서울대 교수진의 강의를 책으로 옮긴 ‘서가명강’시리즈의 스물세 번째 책이다. 역사, 철학, 과학, 의학, 예술 등 각 분야 최고의 서울대 교수진들의 명강의를 책으로 옮긴 서가명강 시리즈는 궁금증과 지적 호기심을 가진 독자의 기대를 충족한다.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IMG_babak-habibi-34uOaL1He4w-unsplash.jpg)
Photo by Babak Habibi on Unsplash
들어가는 글 : 개미를 위한 기업 생태계 입문서
1부 주주가 기업의 주인이다?
주주우선주의란 무엇인가
경영자는 누구를 위해 일해야 하는가
현재냐 미래냐, 단기성과냐 성장성이냐
상장기업의 수가 줄어드는 이유
2부 얽히고설킨 대리인 문제와 그 해법
주주와 경영자 간의 동상이몽
경영자에게 성과급을 주지 마라
이사회는 과연 독립적인가
사자에게 먹히지 않으려면 독이 든 알약을 먹어라
3부 갈등은 어디에나 있다
서로 다른 두 입장, 주주와 채권자
회사 금고 밑에는 터널이 있다
기업분할, 쪼개고 밀어주기
4부 기업이 살아야 지구가 산다
법과 대리인 문제
모니터링은 주주만 하는 것이 아니다
기업의 주인은 누구인가
나가는 글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IMG_dylan-gillis-KdeqA3aTnBY-unsplash.jpg)
Photo by Dylan Gillis on Unsplash
이관휘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경영대학과 노스캐롤라이나대 통계학과, 오하이오주립대에서 공부했고 럿거스뉴저지주립대와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하나은행 석학교수로 재직 중이다.
평소에도 SNS상에서 의견을 표현하고 있어 그의 글은 자본시장과 경제 흐름, 기업에 관한 궁금증을 가진 팔로워를 양산하고 있다. 전작으로는 전 세계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주식가격 결정 등 투자론을 연구하며 ‘공매도’에 관한 저술로 공매도의 특성을 잘 알려주었다.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에서는 자본시장의 꽃인 주식회사의 특성상 주주, 경영인, 대리인의 본원적인 역할로 대립할 수밖에 없는 관계를 특정한다. 주주 우선주의를 따르면 기업의 투자 효율성과 생산성을 저해할 수밖에 없다. 경영인의 급여가 많아져도 기업의 수익성을 떨어지게 된다.
경영인은 높은 경영 성과를 보이면 많은 급여를 받는 건 당연하지만, 옥중 경영과 경영 리스크를 초래한 때조차 수백억 원의 급여가 책정되는 건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기업에 관해 소비자와 투자자의 관심은 어느 때보다 높아졌고, 투자자의 증대는 기업 역할에 관해 근원적인 확대를 요구한다. 관심이 가는 것은 기업의 수익성과 투자자의 이익이 상반되는 경우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물적 분할이다. 투자자는 제한된 정보를 통해 기업의 물적 분할의 피해를 고스란히 투자 손실로 이어지게 되었다. 기업은 자본금을 확충하는 절호의 기회지만, 인적 분할이 아닌 물적 분할로 성장성 있는 자회사를 새로 만드는 것은 도덕적 해이에 해당한다.
이 책의 흥미로운 점은 주식회사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세계 시장의 관점에서 상장기업이 점차 비상장기업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상장기업이 늘고 있는 이유는 신규 상장이 줄어드는 것과 기존 상장을 폐지하기 때문이다. 주주 우선주의가 기업의 성장성에 방해가 된다고 느끼는 기업은 상장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이사회의 역할, 주주와 대리인에 관한 실재 기업의 사례를 들어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r/e/reimmagen/IMG_company_01.jpg)
매번 기업의 재무제표와 투자 지표를 들여다보는 나에게는 기업에 존재가치와 기업의 역할, 소유에 관한 충격적인 메시지를 전하는 책이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의무가 되었고, ESG의 거대한 흐름도 기업의 향방을 가를 것이다. 주주들의 부를 극대화하는 방안은 기업의 이해당사자의 부를 극대화하는 방안일까?
단순히 투자 대상으로서의 기업이 아니라 우리 사회를 이끌어가는 주체로서의 기업의 거버넌스를 확인하고 싶은 분에게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는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서가명강23기업은누구의것인가, #기업은누구의것인가, #북이십일, #이관휘, #재무경제학, #경영학, #기업구조, #거버넌스, #서가명강,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