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일준의 나주 수첩 1~2 세트 - 전2권 - 송일준과 함께 하는 즐거운 나주 여행 ㅣ 송일준의 나주 수첩
송일준 지음 / 스타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송일준 PD ‘제주도 한 달 살기’에 이어 ‘나주 오래 살기’에 도전하다.
스타북스에서 출판한 <송일준의 나주 수첩>은 나주에 대한 안내서이다. 그는 전작인 ‘제주도 한 달 살기’를 통해 제주도 구석을 친절하게 소개했다. 이번 ‘나주 수첩’은 제주에 이어 고향인 나주에 대해 구석구석 탐방하여 현지인을 만나며 고향 친구, 나주에 뿌리내린 사람을 소개한다.
나주는 중요도와 비교해 많이 알려지지 않는 도시다. 전라도라는 명칭이 전주와 나주에서 유래한 지명에서 유추할 수 있듯 나주의 ‘부목군현’의 20개 목중 하나였다. 또한 백제에 복속 당하기 전까지 마한의 중심지였고 고려 혜종 때 나주라는 이름으로 명명된 지 천년이 넘은 고도다 보니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품고 있다.
고려 시대, 조선 시대 핵심행정구역 단위가 목이고, 관찰사가 목사에서 직접 협의하는 행정 체제를 유지했기에 나주목의 중요성은 말할 나위가 없다.
최근 입시와 관련한 나주의 이슈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 개교다. 나주를 에너지 중심지역으로 키우기 위한 나주 빛가람혁신도시와 KTX 개통, 켄텍의 개교는 나주가 에너지 산업의 미래 중심지로 거듭나는 방안이었다.
<나주 수첩>에서는 전기 전문가 이순형 박사와 이야기를 통해 에너지 밸리 조성 계획과 지역 경제를 살리는 방안을 이야기하지만, 이 박사가 느끼기에 서울과 나주의 격차가 너무 크고 자신이 노력한 시간 동안 너무 많은 상처를 받았다고 고백한다.
나주는 나주 배, 나주평야, 홍어뿐 아니라 역사적으로 조선을 개국한 혁명가 정도전, 거북선을 만들어 이순신 장군과 왜적을 물리친 나대용 장군, 한글 창제의 일등 공신 신숙주, 표류문학의 금자탑인 표해록의 저자 최부, 항일독립투사 아나키스트 나월환 등 수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송일준 PD는 영암에서 태어나 나주에서 초등학교 중학교를 나왔다. 그의 고향은 나주다. 혁신도시에 거주하며 나주에 오래 살기로 한 이유에는 고향에 살고 싶은 마음 때문이다.
어린 시절 나주에서 자라다 그의 부모는 나주에서 농사를 지어 자식을 제대로 공부시키기 어렵다고 생각해 아버지 먼저 상경해 옥수동에 자리를 잡고 가족을 모두 불렀다. 엄청 가난했다가 서울의 불야성을 처음 바라본 날, 그의 여동생을 서울역에 처음 내려 택시를 탈 때 신발을 벗어놓고 타서 신발을 잃어버렸다.
오늘 나도 아버지를 만나 어린 시절 부산의 전차를 탈 때 사람들이 신발을 벗어놓고 탔다는 말을 들었는데, 그 시절은 이런 일이 간혹 일어나는 일이었나 보다.
송 PD는 <인간시대>, <PD수첩>을 탄생시킨 주역으로 광우병 위험 미국쇠고기수입 무제한 허용 방침을 비판한 방송으로 오랫동안 고초를 겪었다.
2018년 광주MBC 사장을 취임했고, 작년에 은퇴하여 평소 자신이 염두에 두었던 곳에서 한 달 살기와 오래 살기를 실천하고 있다.
책의 중간중간 그의 인생이 전환한 중요한 지점을 소개하고 있다. 학창시절 서울로 상경한 이야기, 대학에서 있었던 일, MBC에 입사하고 PD로 활동한 이야기, 광우병 파동에 얽힌 이야기 등등.
<나주 수첩>에는 현지인이 전해줄 수 있는 재미난 이야기가 듬뿍 실려있다. 나주의 유명한 금성산에 얽힌 구렁이 이야기, 금성산의 토지관 행세를 하다 제주도로 쫓겨온 뱀 이야기도 신화처럼 전해진다.
인구 8만 명이 무너졌던 나주에 혁신도시로 새로운 이주민이 들어와 이제는 12만 명이 넘는 도시로 거듭나는 나주에는 새로운 콘셉트를 가진 식당과 카페, 공원이 생기고 있다. 한옥 게스트하우스 나주향, 박태후 화백이 꾸민 정원인 죽설헌, 빛가람동 호수공원, 혁신도시의 카페 ‘릴케의 정원’ 등등…….
나주시 다시면 운봉리에는 조선 창업의 주역 중 한 명인 정도전이 유배를 왔다. 권력에 떠밀려 왔지만, 사람들은 그를 따뜻하게 맞아주었다. 술을 빚어 그에게 대접하는 지인도 있었고, 천민들이 모여 사는 부곡마을인데 농부와 노인의 경륜과 지혜를 가지고 있었다. 이 지역은 고려를 세울 때 반대했던 백제의 유민 후손들이 거주하던 곳이었다.
정도전은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권문세가들에 착취당하는 농민들의 현실, 지혜로운 백성을 보고 배웠다.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고, 정치는 왕이 아닌 엘리트들이 주도해야 한다는 신념을 키웠다. 삼봉의 민본사상의 발원지는 이곳 나주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주에는 여행지로 방문할 곳도 많은 곳이라는 점을 <나주 수첩>을 통해 알게 되었다. 다음에 가족과 함께 전라도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나주가 친근하게 다가온다.
전국 여행과 나주에 관심을 가진 분은 <송일준의 나주 수첩>을 통해 나주의 매력에 빠져보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송일준의나주수첩, #송일준, #스타북스, #나주, #여행에세이,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