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거짓말 두 번째 이야기 인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박홍규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

 

박홍규 교수님의 <인문학의 거짓말 두 번째 이야기>는 기존의 인문학 도서와 몇 가지 점에서 차별화된다.

 

많은 도서가 중세를 다룰 때 서양을 기준으로 중세를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면, <인문학의 거짓말>은 서양, 동양의 인도, 이슬람, 중국, 한반도를 비슷한 비중을 두어 중세 인문학을 설명한다.

 

실상 서양 문명이 동양의 인도, 이슬람, 중국 문명에 앞서기 시작한 시점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18세기부터인 점을 생각하면 중세의 기준은 동양문명인 점은 당연하다.

 

특히 이슬람 문명에 대한 설명에 있어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는 정수일 교수님에 대한 도서에 대한 소개와 지금 읽고 있는 <유라시아 견문>의 이병한 교수님에 대한 다른 시각도 알 수 있어 흥미로웠다.

 

이 책은 중세를 다루고 있는데 그렇다면 중세는 언제부터인가?

 

통상적으로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476년부터 1492년 스페인에서 무어인이 추방되기까지 1,016년간을 흔히 중세 1,000년이라고 한다.

 

학창 시절 학교에서 배운 기억에 중세는 암흑의 시대라고 배웠는데 암흑이라는 점은 서양 중심에서 기독교를 기반으로 한 수도원의 권한이 커짐에 따라 다른 문화, 예술 부문을 겁박한다는 점에서 암흑의 시대라 표현한 것 같다.

 

물론 이 시기에 다른 지역, 인도, 이슬람, 중국은 각각의 지역에서 문화, 사상, 예술 부문에서 성장을 이루고 있었다.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은 중세적 맹신을 비판했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책에서 흥미로운 점은 이슬람과 인도의 중세 이야기이다.

한반도와 중국에 관해서라면 역사 시간에 비중을 두고 배우지만, 이슬람의 중세 문명, 인도의 중세 문명은 교과서의 약간의 페이지만 할애하고 있어 저자가 들려주는 중세의 인문학 이야기는 인상적이다.

 

먼저 주목할 점은 십자군 전쟁에 관한 내용이다.

서양의 기독교 문명에서 성지를 탈환하기 위해 일으킨 7차례에 걸친 십자군 전쟁은 처음의 종교적인 신념에서 출발한 전쟁이 시간에 지남에 따라 차츰 변질하여간다.

 

급기야 십자군은 같은 기독교 문화권인 도시를 약탈하기에 이른다.

 

리틀리 스콧 감독의 <킹덤 오브 헤븐>은 살라딘과 십자군 기사에 관한 이야기이다.

 

한쪽에서는 성지탈환에 관한 이야기이고, 다른 한쪽은 침략자를 막아야 하는 전쟁인 것이다.

 

이슬람 문명에 관한 이븐 바투타와 이븐 할둔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 매력적이다.

 

14세기 이븐 바투타가 여행한 길은 지금 지도로 봐도 대단한 여정인데, 30년 동안 아프리카, 지중해, 유럽, 아라비아반도, 인도, 중국에 이르는 대장정은 당시 광범위하게 세계를 지배하고 있던 이슬람 문명에 대해 알려준다.

 

거의 모든 면에서 마르코 폴로와 비교할만하고, 그가 남긴 여행기 또한 당시 그가 방문한 곳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당시의 이슬람 문명은 관용과 포용이 만연한 사회였다.

 

인도 문화에 관심을 가진 사람을 위한 네루의 <인도의 발견>도 추천한다.

내가 아무리 설득해도 마지막에 갈 수 있는 나라는 인도가 될 듯하다.

인도에 대해 들려오는 최근의 소식들은 여성의 처지에서 보면 경악할 만하다.

 

힌두교도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인도 사회는 소수인 이슬람교도에 대한 혐오감을 부추긴다.

정치가들은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이런 인종차별을 부추긴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한다.

 

중세의 인도 이야기에서 흥미로운 점은 타고르에 관한 부분이다.

한국을 동방의 등불이라 칭했다고 우리에게 잘 알려진 타코르는 인도의 다빈치와 같은 사람인데, 그는 일본을 찬양하는 인문이었다고 한다.

 

영국이 지배하고 있던 인도를 같은 동양권 국가인 일본이 해방해 줄 거라 믿었기 때문인데, 일본은 실재 인도와 근접한 미얀마까지 점령했기에 타고르의 기대는 허황한 것만은 아니었다.

 

인도인의 인생 시기를 이야기하는 점과 죽음을 나타내는 바라나시와 우파니샤드, 인도의 음악, 미술에 관한 이야기는 기억할만하다.

 

개인적으로 저자와 공감하는 점이 많아 독서하는 시간이 상당히 즐거웠다.

 

<인문학의 거짓말>은 저자가 가지고 있는 광범위한 지식을 바탕으로 중세의 여러 문명에 관한 흥미로운 정보를 알 수 있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인문학의거짓말 #박홍규 #FFL #인물과사상사 #인문학 #책과콩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