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계를 잇는 소통의 세계
정의환 외 지음 / Book Insight / 2020년 8월
평점 :
품절

우호적 관계를 위한 소통의 모든 것
오늘 소개할 책은 정의환, 백선영, 김미혜, 김은정, 김정현, 김태희, 지건정, 한채연 공저자의 프로젝트팀인 라이터그룹에서 저술하고, 북인사이트에서 출판한 <관계를 잇는 소통의 세계>이다.
Covid 상황으로 언택트 시대가 예정보다 빠르게 성큼 우리사회에 자리 잡았다.
기존의 서로 교류하고 소통을 중시하는 사회에서 사회적거리두기가 강조되는 Covid-19 상황이 기존의 상황과는 달라진 언택트 사회를 가져왔다.
여러 장소로 이동하는 것보다 한 장소에 오래 머무르는 것이 강조되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소통의 부재가 동시에 이루어지면 우리가 느끼는 외로움은 더 크게 다가올 것이다.
대화의 철학자 마르틴 부버는 ‘모든 참된 삶은 만남에 있으며,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대화’라고 하였다. -38p 소통의 기본 철학 중
하루에 수시로 떠오르는 단체대화방의 알림표시는 반응을 해야 할지, 그냥 두고 하던 일을 계속해야 할지 갈등을 일으킨다. 단체대화방의 빠르게 진행되는 나와는 다소 무관한 내용은 가끔은 나를 더욱 외롭게 만든다.
당신의 마음을 헤아려 주는 사람이 있습니까?
대한민국의 평균 성인 1사람은 5.9개의 SNS 단체대화방에 참여하고, 10명 중 8명에 해당하는 82%는 이로 인한 피로감을 호소한다.
나의 이야기를 공감하고 다른 사람의 대화 중 내가 공감하는 사람에게 표현하고 싶은 마음을 표현하는 소통방식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다수다.
우리는 소통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인류학적으로 호모사피엔스 사피엔스는 동시대에 활동한 다른 호모 종보다 체격도 가장 작았고, 신체적으로 가장 열등했다.
그럼에도 그들이 마지막까지 생존해서 오늘날의 우리 인류의 조상이 된 이유는 사회적 관계를 통해 많은 정보를 관계 안에서 전달하는 능력이 크고 응집력이 강한 집단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오늘은 살아가는 우리에게 소통은 여전히 중요하다. 소통이 끊기면 관계도 끊어지고, 이는 우리에게 단절과 참여하는 조직의 붕괴를 의미한다.
저자는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이루어진 팀이라 어떻게 하면 소통의 효율을 높이고 좋은 관계를 만드는지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먼저 소통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점은 좋은 이미지를 전달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웃는 모습과 호감을 주는 시선과 표정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가능한 표준어를 사용하고, 비속어를 사용하지 않고 호감을 주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소통은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행위이기에 상대방의 감정신호를 제대로 읽고 반응하는 것은 유의미하다.
요구와 욕구
상대방이 어떤 말을 했다고 하면, 이는 상대의 요구와 욕구로 나타난다.
요구는 바다 위에 떠 있는 작은 빙산과 같고, 말하고자 하는 욕구는 바닷속 감추어진 얼음덩이다. -107p 요구와 욕구 사이 중
요구 속에 담긴 욕구를 발견하는 것은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올바른 대응을 하기 위한 핵심요소이다.
일상생활의 대화 속에서 우리가 듣는 것은 상대방의 요구이다. 하지만 그 안에 담고 있는 상대의 욕구를 알기 위해서는 상대와의 꾸준한 소통과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 상대에게 요구를 확인하고 욕구에 대한 질문을 통해 이를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올바른 소통을 위한 대화는 너무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몰입하여 공감하는 경청이 필요하고, 질문할 경우, 지지 반응을 활용할 수 있는 열린 질문(Open Question)을 해야 한다.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요인 중, 상대방에게 인정받고, 환영받는 존재가 되는 것은 자존감을 높여줄 것이다.
배려와 존중을 하는 사람들은 상대방을 행복하게 만들고, 그들에게 더 풍성한 소통을 하게 만든다.
이와 같은 풍성한 소통은 사회적 동물인 우리의 행복한 삶을 가져다주는 필수적인 방법이다.
자신이 소통하는 것에 어떤 어려움을 느끼거나, 관계를 원활하게 만드는 소통의 방법론이 궁금한 사람은 이 책은 읽어보길 추천한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관계를잇는소통의세계 #언텍트 #정의환 #백선영 #김미혜 #김은정 #김정현 #김태희 #지건정 #한채연 #북인사이트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