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평등 베트남어 첫걸음 - 평등한 언어 세상을 위한 시작 언어평등 첫걸음 시리즈
이아영 지음 / 언어평등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등한 언어 세상을 위한 시작

 

오늘 소개할 책은 이아영 강사님이 저술하고 언어평등에서 출판한 <베트남어 첫걸음>이다.

 

언어세상은 문예림 출판사의 어학 콘텐츠 브랜드인데, 문예림이 추구하는 가치가 새겨둘 만하다.

 

지구 상의 모든 언어는 인류 공동체 문명 발전의 발자취입니다. 힘이 센 나라의 언어라 해서 더 좋거나 더 중요한 언어가 아닌 것처럼, 많은 사람이 쓰지 않는 언어라 해서 덜 좋거나 덜 중요한 언어는 아닙니다.” - 책 표지 중

 

베트남이라는 젊은 나라를 생각하면 우리와 비슷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분단국가로 전쟁의 경험을 가진 나라이다.

 

한자문화권에다 유교 사상을 공유하고 있어 베트남은 왠지 친근감을 느끼는 나라다.

최근의 박항서 감독의 활약으로 양국 간의 관계가 더욱 가까워진 기폭제가 되었다.

 

베트남을 여행할 당시, 호엔키엠 공원에서 K팝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있는 학생들을 보고, 우리 문화를 좋아하는 그들의 모습에 감동하여 한참을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지켜보았다.

나도 베트남에 관해 관심이 있다는 표현을 하고 싶었고, 그들과 베트남어로 이야기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이 순간을 기점으로 베트남어에 대한 궁금함을 가지고 한번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마음속에 자리 잡았다.

 

베트남어를 생각하면 6개의 성조 때문에 선 듯 배우려고 마음먹기 어려웠는데, 이번 <베트남어 첫걸음>은 문자와 자음, 모음, 성조부터 기초 상식을 알려준다.

 

베트남어의 특징은 우리말과는 다르게

 

1. 주어 서술어 목적어 순서로 이루어진다.

2. 베트남어에는 조사(//)가 없다.

3. 베트남어는 6가지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4. 베트남어는 음절마다 띄어쓰기를 한다.

 

베트남어의 다른 한 가지 특징은 한자와 알파벳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점이다.

문자가 기본적으로 알파벳으로 표현해, 다른 언어보다 발음하기 유리하다.

 

이 책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대화를 근거로 설명한다.

20과를 통해 주제를 정하고 대화를 통한 문법을 알려준다.

 

관계를 중요시하는 베트남에서는 호칭의 사용법 또한 관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다음 3가지를 기억해야 한다.

첫째, 상대방에 따라 나를 칭하는 게 달라진다.

둘째, 상대방을 부르는 말이, 곧 나를 칭하는 말이 되기도 한다.

셋째, 가족, 친척 간의 호칭을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사용한다.

 

베트남어에선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이 없고, 주소를 표기할 때 한국과는 반대로 가장 작은 행정단위부터 표기한다.

 

날짜 표기도 요일---년도 순으로 사용한다.

 

베트남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다.

우리나라는 베트남과 여행, 사업, 이민과 같은 밀접한 교류를 맺고 있다.

 

베트남은 1억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국가다.

경제, 사회, 문화 교류의 양국 관계를 생각하면 베트남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늘어가는 것은 당연하다.

이 책을 베트남어를 배우는 첫걸음을 다질 수 있는 교재이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베트남어 #이아영 #언어평등 #문예림 #베트남 #책과콩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