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수 - 한시가 인생으로 들어오다
이은영 편역 / 왼쪽주머니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시가 인생으로 들어오다

 

오늘 소개할 책은 이은영 님이 편역하고 왼쪽주머니에서 출판한 <우리가 사랑한 대표 한시 312>이다.

 

한시는 한자로 만들어진 시이고, 국어사전의 70%는 한자어인 우리나라에서 한자의 흔적은 곳곳에 남아있다.

 

이 책은 천지인풍이라는 큰 주제에 여섯 개의 소주제로 나눠진다.

각각의 소주제는 13편의 한시를 수록하고 있어 다 합하면 312수의 한시를 감상할 수 있다.

 

나는 외국의 고전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이 있지만, 정작 우리의 고전인 한시에 대해 너무 모른다는 생각에 부끄러움을 가지고 한시를 읽었다.

 

아니나 다를까 아는 한시가 거의 없었다.

이번에는 생각을 바꿔 인물 위주로 역사에서 그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저술한 한시를 읽어보았다.

 

물론 모르는 이들도 다수였지만, 모르는 분들은 한 분씩 찾아가며 한시를 감상했다.

저자는 친절하게도 나처럼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을 위해 독음과 한시의 아랫부분에 저자에 관한 이야기와 한시를 지을 당시 상황과 자신의 의견까지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로소 이 책의 가치를 느끼며 한 수씩 한시를 감상하며 원저자들의 일생을 음미하게 되었다.

 

영매 詅梅(매화를 읊다) - 정도전(1342~1398)

 

고요한 밤에 눈은 막 그쳤고

맑은 달이 하늘 반쯤 기울었다

애간장 끊어질라! 남녘 나그네

시를 읊조리며 홀로 잠 못 이룬다

 

夜靜雪初霽 淡月橫半天

야정설초제 담월횡반천

 

腸斷江南客 哦詩獨不眠

장단강남객 아시독불면

 

정도전의 이 한시는 조선 혁명의 과업을 완수했지만, ‘신권과 왕권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생각으로 조선의 설계하고자 했던 그의 사상은 왕으로선 받아들이기 힘들고 극복해야 하는 부분이다.

 

일련의 과정으로 정도전은 34세와 50세 때 두 번의 귀양살이를 하게 되는데, 이 한시는 자신이 귀양을 갔을 때 지은 시라고 여겨지고, 그의 말로는 함께 혁명을 완수한 동료였던 이방원에게 광화문 앞에서 참수당하는 거로 마무리된다.

 

애간장이 끊어질 만큼 상처를 받은 그는 귀양살이하는 동안에도 정계 복귀를 꿈꾸며 그가 바란 대로 정치를 지향해서 잠 못 드는 것 같아 많은 공감을 가지게 한다.

 

 

소대람고 蘇臺覽古 - 이백 (701~762)

 

옛 동산 허물어진 누각에 버들잎은 새롭고

마름 노래 맑은 목청 봄을 도와 더 서럽다

지금 무심하게 떠 있는 서강의 저 달은

옛날 오왕궁에 살던 귀인들을 비췄으리

 

舊苑荒臺楊柳新 菱歌淸唱付勝春

구원황대양류신 능가청창부승춘

 

至今唯有西江月 曾照吳王宮裏人

지금유유서강월 증조오왕궁리인

 

이 한시를 지은 이백은 두보와 더불어 중국 문학의 위대한 2명의 시성으로 알려져 있다.

이백이 8세기 당나라 때 인물이니, 이 시에 등장하는 삼국시대의 오의 왕궁은 그가 시를 지었던 시기보다 500년 정도 전에 일어난 일이다.

옛 동산의 허물어진 누각을 보았다고 하니 이제는 영화를 달리하고 패망한 나라 오나라의 궁전이라고 화려하진 않았을 것 같다.

 

오래된 궁궐터를 떠올리고 강물에 비추는 달은 과거 인물들에게도 똑같이 비추는 달이었지 않을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산성에 올라 임진왜란의 적들은 맞아 숨진 선조들을 생각하며 과거를 떠올려보다, 그 이전 신라 시대 화랑의 연습 장소일 텐데, 세월이 흐르는 동안 그 장소는 과거에서 현재까지 역사를 함께하고 있다.

 

이백이 시성으로 불리는 이유는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을 과거와 어우러져 인생이 무상함을 읊었기 때문인데, 기록상으로 이백은 이러한 한 시를 읊었던 원조 격이라 한다.

 

책 속에 등장하는 우리 역사를 바꾸었던 주요 인사들이 사건이 생긴 전후에 지은 한시는 그 인물의 감정을 공감하는 기회가 되었고, 여성 인사들과 기생의 한시와 일본의 고승에 이르기까지 이 책에 소개하는 한시들의 저자를 찾아보며 그들의 감정을 공유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의 색다른 역사 여행이었다.

 

공책에 한시를 한 수씩 옮겨적어 보니 선조들이 공부방식이나 호연지기도 느껴보는 계기가 되었다.

 

가장 급선무라고 느끼는 점은 부족한 한자 실력과 이를 해독하는 능력이었다.

 

한시를 소개하는 책을 통해 선조들이 느낀 풍부한 감성을 공감하고 한시를 편역한 도서가 좀 더 많았으면 바라본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우리가사랑한대표한시312#한시 #이은영 #왼쪽주머니 #책과콩나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