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의 중심축이 이동한다 - 세상을 움직이는 힘, 부와 권력의 역사
다마키 도시아키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을 움직이는 힘, 부와 권력의 역사!
오늘 소개할 책은 사람과 나무사이에서 출판한 서수지 역자의 다마키 도시아키 저자의 <세계사의 중심축이 이동한다>이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다툼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세계사의 중심축은 아시아로 다시 돌아올 수 있을지 궁금하다.
이런 궁금증을 가지고 책을 펼쳐보니 저자는 인류의 역사를 초기부터 현재까지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700만 년에 달하는 인류 역사에 있어 3차례의 ‘글로벌리제이션(Globalization)’을 언급한다.
호모에렉투스가 유라시아 대륙으로 퍼져 나간 제1차 글로벌리제이션과 호모사피엔스가 아프리카를 나와 세계 각지로 뻗어 나간 것을 제2차 글로벌리제이션으로 본다.
대항해 시대에 유럽인이 세계 곳곳으로 원정을 떠난 제3차 글로벌리제이션이 현대 사회를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제2차 글로벌리제이션으로 인간은 세계 각지로 이주해 정착 생활을 시작했고, 이른바 ‘6대 문명’을 탄생시켰다.
저자가 제안하는 6대문명은 기존의 4대문명인 최초로 출현한 메소포타미아 문명, 나일강의 선물이라는 이집트 문명, 인도의 인더스 문명, 중국의 황하 문명에 중국의 양자강 문명과 아메리카 대륙의 고대 문명인 메소아메리카 문명을 더해서 6대 문명으로 본다.
아시아의 문명의 전파를 설명하며, 일본인의 뿌리는 몇 갈래가 있지만 중국으로부터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들어온 일본인이 적지 않다는 주장에 놀랐다.
타당한 분석이지만 일본 학자가 주장하기에는 부담이 되는 주장이기에 나는 번역자의 자의적인 해석인지 원문에 충실한 주장인지 궁금했다.
저자의 흥미로운 주장은 6대문명과 일본인의 뿌리에 이어 농경생활에 대한 해석이다.
수렵채집인의 생활에서 농경생활로의 정착을 성장이라는 관점이 아닌 문제점을 부각하는 점이 이색적이다.
주장의 근거로 평균수명이 짧아졌고, 새로운 계급이 나타났다, 영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저자는 중국과 인도가 오랜 시간 패권을 가진 이유와 그 후 로마제국의 성장이슬람 세력의 등장을 설명한다.
마침내 대항해 시대를 거쳐 유럽의 이탈리아를 거쳐 포르투갈이 무역을 장악한 점을 보여준다.
패권을 차지한 네덜란드와 더불어 유럽의 발전을 소개하며, 가장 중요한 원인을 정보의 비대칭성을 적게 만든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을 꼽는다.
인쇄술로 정보의 비대칭성이 적어진다는 의미는 시장 참여가 쉬워지고 경제 성장이 유리해진다.
이는 경제 활동을 활성화시켜 유럽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경제 성장률을 실현하도록 한다.
영국이 패권을 장악한 원인을 전신으로 유지했다는 점도 흥미롭다.
전신은 세계 상업 정보의 유통 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였다. 이는 거래 비용을 크게 줄여 세계경제의 성장을 이끌었다.
미국은 2차 대전의 전장이었던 유럽 경제가 피폐해진 이후, 연합국의 승리자로서 전후 국제 금융과 통화 체제를 결정하기 위한 미국 뉴햄프셔 주 브레턴우즈에서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로 세계의 주도권은 영국에서 미국으로 넘어갔음을 판정하는 회의였다.
이 책에서 언급하는 패권 국가는 경제적 개념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큰 전쟁이 발생한 경우, 패권은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줬다.
오늘 뉴스에 중국의 ‘중국판 GPS’인 베이더우시스템 구축을 위해 55기의 인공위성을 모두 성공리에 발사했다고 한다.
기존의 미국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렸던 부분들을 중국은 단계적으로 벗어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저자는 ‘일대일로’ 정책으로는 중국이 세계의 패권 국가가 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지만, 나는 중국의 GDP 성장률과 경제성장률은 고려했을 때, 중국이 패권 국가가 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본다.
이 책은 저자의 흥미로운 주장들이 많이 있으며, 저자와 동반하는 전 세계를 움직이는 부와 권력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흥미로운 여행이 된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세계사의중심축이이동한다 #다마키도시아키 #서수지 #사람과나무사이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