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차산업시대, 예술의 길
김선영 지음 / 봄봄스토리 / 2020년 4월
평점 :

오늘 소개할 책은 봄봄스토리에서 출판한 김선영 교수님의 <4차산업시대 예술의 길>이다.
앞으로 다가올 아니 이미 우리 옆에 존재하는 4차 산업시대에 예술이 나아가고 있는 상황을 이책은 굉장히 잘 소개하고 있다.
예술에 대한 중요성을 잘 알고 있어 4차 산업시대에는 예술이 설 자리가 좁아지지는 않을지 걱정을 하고 있는데 저자는 예술이 그 특성을 살려 진행되는 과정을 잘 알려주고 있다.
김선영 교수는 홍익대 대학원 문화예술대경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예술 산업, 문화콘텐츠, 특히 예술과 기술의 융합 분야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어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과 예술의 관계를 보여주고, 공중예술이라 불리는 드론이 예술에 미치는 영향과 작품, 바이오아트의 현황과 평창올림에 등장한 인면조를 모티브로 하여 키네틱아트의 가능성을 소개하고, 기술과 뮤지컬 공연이 접목된 이머씨브씨어터를 소개하고, 마지막은 문화도시 사업에 사용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을 소개한다.
딥러닝이 발달하며 알파고가 등장하여 이세돌을 격파했을 때, 인공지능은 인간의 어느 영역까지 추월할 수 있을지 궁금했다.
인공지능이 쓴 소설이 일본의 문학상예선을 통과하고,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광고와 넥스트 렘브란트 프로젝트에서 인공지능의 그림은 사람만이 유일하게 예술적 창의성을 가질 수 있다는 믿음이 흔들리게 된다.
저자가 소개하는 예술가와 작품들을 검색해 보며, 기술과 예술의 융합이 만들어낸 놀라운 면들을 보게 되었고, 터키 출신의 사진작가 아이딘 바이야크타스의 초현실주의 작품들은 주변의 일상이 보는 각도와 관점에 따라 어떻게 달리 인식되고 예술적 감각을 가지게 되는지 놀라웠다.
평창올림픽에서 사용된 드론의 군집비행은 대중들에 의해 ‘드론에 의한 예술’이 하나의 독자적 예술 장르가 될 잠재력과 가능성을 시사했다.
16세기 화가 아르침볼도가 초상화를 각종 야채와 곡물, 과일들의 조합으로 그렸을 때 특이하고 우스꽝스럽다고도 했지만, 초상화의 모델인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루돌프 2세는 초상화를 보고 기뻐했다고 한다. 궁정화가 아르침볼도는 풍성한 수확을 거둔 황제의 업적을 칭송하려 했다는 것을 알아차렸기 때문이다.
닉 베세이의 엑스레이 초상화는 겉치레의 이미지보다 본질적인 모습에 집중하라는 의미로 엑스레이 초상화는 우리의 본질은 주목하라는 점을 강조한다.
바이오아트의 소개는 한마디로 충격 그 자체다.
데이비드게일이라는 영화에서 자신의 죽음을 증거로 사용하는 주인공을 본 느낌처럼 바이오아트 예술가들은 그들의 건강에 해로울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마리옹 라발 장테크의 <말이 내 안에 살기를>이라는 작품에서 자신의 신체에 말 혈장을 수혈받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몸의 변화를 퍼포먼스화 했다.
자신의 예술적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그 자신을 예술적 객체로 사용하는 모습에 놀라움과 바이오아트가 소중하다고 여겨온 생명 그 자체를 소재로 한다는 측면에서는 윤리적 논란을 일으킨다.
키네틱아트에 있어 ‘21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라 불리는 테오 얀센의 작품을 보고 거대한 움직이는 예술작품이 선사하는 놀라움에 눈이 커지게 된다.
이 책 <4차산업시대 예술의 길>은 다양한 내용과 저자이 해박한 지식이 돋보이고, 소개하는 작품들을 찾아보면 앞으로 다가올 시대의 예술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나 역시 이런 좋은 책을 읽은 후, 폭넓은 분야에서 예술과 기술을 접목해 나아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즐거웠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했습니다.
#4차산업시대예술의길 #김선영 #4차산업시대 #봄봄스토리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