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최고의 문장 이덕무를 읽다 - 간서치 이덕무와 그의 벗들이 들려주는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내면 풍경
한정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6년 12월
평점 :
이덕무는 간서치라는 별명답게 저술 내지 기록물이 많아보인다.
<이덕무를 읽다>를 일목에 정리하면 크게 두 섹션으로 나뉜 구성이다.
첫 섹션은 이덕무를 읽다 앞에 '조선 최고의 문장'이라 이름지은 것과 같이 이덕무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이덕무만의 '문장론'을 중심으로 글쓰기란 행위란 기교와 그 표현(방식)보다는 그 이전에 글쓴이의 철학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이덕무의 철학은 일전 저자의 <글쓰기 동서대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양의 이탁오, 서양의 니체와 비슷한 동심, 이덕무식으로 표현하면 '영처'의 철학적 자세이다. 이렇게 첫 섹션은 이덕무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둘째 섹션은 부제인 '간서치 이덕무와 그의 벗들이 들려주는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내면 풍경'이다.(책을 처음 봤을 때 이 문구에 크게 이끌렸다)
이렇게 이름지은 것처럼 이덕무가 지식인으로서 한 단계 도약하는 여정이었던 서해 중북부기행과 당대의 문화,지식권력이 '북학'이라는 사상을 두고서 북학파를 비판하던 환경에서 18세기 진경시대, 조선 고유의 색과 멋을 지향하던 학류의 형성, 남학(일본학)까지도 포섭하려는 그의 자세를 초점맞춰 다루고 있다.
북학파 중 이덕무는 덜 부각된 가운데 그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책 속 텍스트를 인용하며 마무리하려고 한다.
"그동안 북학파를 연구한 인문학자들은 이덕무를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와 비교해 북학 사상이나 사회 개혁론에서 중요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고 해서 별반 중요하지 않은 인물로 다루었다. 실제로 이덕무의 연행록인 <입연기>를 읽어보면, 박제가의 <북학의>에서 볼 수 있는 북학 사상이나 사회 개혁에 관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북학파 지식인 그룹이 북학의 큰 뜻을 공유하면서도 각자 특정 분야에서 독자적으로 일가를 이루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의산문답>에서 홍대용은 천문지리와 과학에서, <열하일기>의 박지원은 문장에서, <북학의>를 쓴 박제가는 사회 개혁론에서, <발해고>의 유득공은 역사 방면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그렇다면 이덕무는 어떠했는가? 그는 <청장관전서>라는 동양과 서양, 고대와 당대를 아우르는 백과사전적 지식 탐구의 저술을 남겨 당시 최신 학문이었던 고증학과 변증론 및 박물학 분야에서 독보적인 역량을 펼쳐보였다." - 380면 中
<이덕무를 읽다>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18C 지식의 형성과 지식인에 대한 자료이자, 그 시대를 작가 나름의 시각과 견지에서 풀이, 포착하고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