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논쟁! 철학 배틀
하타케야마 소우 지음, 이와모토 다쓰로 그림, 김경원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의 한 범주인 철학에 관심이 많다. 관심이 자연스레 책을 매개고리로 연결되었다. 관심을 충족하면서, 비교적 내 수준에 맞는 책을 읽게 된다. 지나치게 어렵지 않고, 너무 쉽지도 않은 책 말이다. <대논쟁 철학배틀>은 난이도 상으로 봐서는 그리 어렵지는 않은 책이다. 한 마디로, 칸트는 이런 개념으로 주장을 펼쳤고, 벤담(양적 공리주의자)은 이런 논리로 주장을 펼쳤구나.. 하는 식으로 각 37인의 대표 철학자(사상가)들이 핵심으로 내세운 몇 가지 개념 위주로 대화, 논쟁하는 형식의 책이다.


  철학은 학문의 특성상, 대화, 토론, 치열한 논쟁으로 서로 다른 의견이 있었다면 한편으론 수렴하고, 때로는 격렬히 대립하기도 하면서 이론이 체계화되고 정리되며 다듬어지게 된다.


  <대논쟁 철학배틀>의 저자는 일본 입시학원 강사가 썼다. 입시학원에서 쌓은 내공이라면 무엇보다 교과서의 요점을 일목에 요연하게 설명하는 것일텐데, 덧붙이면 그러한 설명에다 스토리를 입히는 살을 붙이면 더욱 이해가 쉬울 것이다.

  책의 저자는 앞서 말했듯 철학계 특유의 소통방법인 '(대)논쟁, 토론배틀' 형식을 취하면서 좀 더 입말에 가깝게 썼는데 이것은 가독성 높은 장점을 잘 알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각 철학자들이 본인 특유의 사상, 그리고 그 사상의 핵심 용어를 선명하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철학자의 사상이 응축된 핵심 용어가 제시되는 '중요한 상황'을 15가지라는 대표적 '철학적 물음'으로 구성시킨다.


  <대논쟁 철학배틀>을 주관적 나를 초점맞춰 평해본다면 일단 낯선 철학자들을 만났고, 이들이 어떤 철학사조로 분류되고 핵심 주장이 무엇인가를 단순하지만 수월하게 접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참고로 만약 이 책이 좀 더 현실적으로 가다듬어질 수 있다면, 더 크게 유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런 스타일의 책에 대해 텍스트의 질적 측면에서 덜 선호하는 독자도 있기는 하다. 아마 그 이유는 어느 정도 짐작은 간다. 수많은 철학자 내지 사상가들에 대해 아직은 우리 학계에서 번역이 덜 된 분야가 여전히 많다는 점은 이런 책이 일본에서 나왔고 아직 우리나라가 일본식 출판문화에서 배울 점이 많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는 점에서는 분명하다.

  참고로 일본식 출판은 그 범위에서 다양하고 특히 <대논쟁 철학배틀> 스타일에서 볼 수 있듯 실용적이고 간단한 도식화가 가능한 점을 들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