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 - 하루 30분 3주면 된다!
김병완 지음 / 청림출판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독서법에 관한 이론서가 아닌 실용서라고 하니 어느 누구나 책읽는 능력향상을 원하는 이에게는 이로울 것 같다. 특히나 <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은 일단 목적의식이 분명하고, 몇 가지 굳어진 고정관념과 통념을 깨는 독서법의 중요 명제를 말해준다.
목적의식이란 우리나라가 다시금 독서강국이 되는 것이고, 잘못 굳어진 고정관념과 통념이라는 것은 시폭확대훈련, 눈운동으로 독서능력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뇌운동, 그것도 활발한 뇌활동으로 이루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또 독서는 눈으로 보이는 것을 읽는 것이 아니라 뇌가 생각함으로써 읽어나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에서 저자 김병완씨는 다독을 강조한다. 강조하는 이유는 양질전환의 법칙에 따라 많은 양의 독서를 하면 질적으로 도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양한 독서법을 적재적소에 해당 책의 개성에 따라 적용해 읽는 것도 좋다고 조언한다.
독서법에 관한 책은 이 책이 거의 처음이다. 집중력있게, 뇌를 적절히 사용하면서 꾸준하고, 비록 비범하진 않지만 소처럼 우직하게 <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에 따른 독서스킬을 상기하며 실천한다면 시간적으로는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속독의 측면에서 볼 때 본 목표에 점점 접근해 갈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좀 부차적인 얘기를 하면, 이 책을 읽으면서 '독서'라는 행위에 대한 좀 더 심화된 가치를 듣게 될 수 있었고, 독서력 향상이 가져다주는 이로움은 당연한 얘기지만 이러한 얘기를 통해 독서의 매력과 열정을 불 지펴주는 촉매 역할도 해준다고 느낀다. 한 가지 묻고 싶은 게 있는데 Q.R.M.S에서 단계를 보면, 수직 읽기 다음 단계로 수평 읽기가 있는데 어떻게 하라는 건지 잘 모르겠다.
사실 이 책을 접하기 전에 독서법에 관한 책에 큰 관심이 없었다. 별 다른 게 있겠냐 싶어서였다. 괜히 완고한 고집도 한 몫 했다. <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를 읽고 나서 일단 최소한 3주는 책에서 제시하는 대로 이행해 볼 것이다. 익숙함을 떨치고 낯설지만 신선한 읽기법을 적용해 보면서 섣부른 판단보다는 오랜 실행을 염두해 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