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로 읽는다 한눈에 꿰뚫는 전쟁사도감 지도로 읽는다
조 지무쇼 지음, 안정미 옮김 / 이다미디어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도로 읽는다 한눈에 꿰뚫는 전쟁사도감>는 제목과 표지가 마음에 들었다. 인포그래픽이라 시각적 즐거움도 크고 알아가는 정보지식도 커가서 재미가 있었기도 하다. 역사의 분명한 사실, 전개흐름을 컬러도판으로 이해하기 쉽고 일목요연하게 설명 한다. 5가지 프레임으로 세계사 속의 큰 전쟁을 초점맞춰 빠르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 한다.


  이 책의 편집은 무엇보다 이해를 빠르게 하기위해 보다 시각적으로, 최대한 주관적 견해를 배제시키려고 노력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그래서 역사적 사건을 전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설명하다보니, 사건이 발생하고 전개되는 '객관적이고 있는 사실 그대로의 눈에 보이는' 과정은 설명할 지언정, 전쟁이 이러한 일반적, 특수적 의미를 가지며 눈에 보이지 않는 전쟁의 단면(심리적 영향)에 대해서는 덜 분석적이게 된다.


  이러한 서술이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지도로 읽는다 한눈에 꿰뚫는 전쟁사도감>의 책이 취하고 있는 절대적인 형식적 측면이 '지도'를 통한 설명이기때문에 감정을 최대한 배제해서 객관적 사료로서 신뢰있는 정보전달에 주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쟁의 복잡,복합성으로 인해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하나하나의 전투에 일일이 나름의 의미부여를 하다보면 전쟁의 궁극적 결과나 시간이 지나 미래에 끼친 영향같은 중요한 공부를 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이해가 어려워진다. 그런 문제를 해결하고 신속한 이해를 돕기위한 자료로서 '지도'를 선택한 것은 아주 효과적이고 적절하다. 바로 즉, 전쟁넓은 시야에서 한 눈에 파악하는 것이다.



  책의 구성을 보면 총 5가지 역사적 프레임으로 전쟁의 성격,양상을 구분하는 특징이 있다.
  먼저, 해양국가vs대륙국가로 보는 전쟁프레임이다. 근대이후 서양의 국가들이 기존 질서하에 동양에 있던 소위 제국을 향해 진출, 진격하면서 보인 전략전술적 측면을 보면 대륙국가는 대개 넓은 땅을 전제정권 내에서 점차 관리 가능한 지역을 넓혀가고 확장하는 전략을 통해 힘을 키웠지만, 해양국가는 무엇보다 제해권을 장악하여 (게임 '대항해시대'를 떠올려보라) 주요 해상 거점, 항구, 천혜의 요새같은 곳을 점유해서 이후 이런 거점을 연결하고, 각 거점항구에서 통상과 무역을 통해 국가의 부를 늘려간다.

  다음은 기독교vs이슬람 간의 전쟁프레임이다. 대표적인 것이 서로간에 '성전'이라 일컫는 십자군전쟁이다. 이러한 전쟁프레임은 국제정치분야에서 빼놓지 않는 하나의 이론이 되기도 하다. 문명간 (단층)경계선에서 비일비재한 분쟁(작은 전쟁)을 잘 설명하기 때문이다.

  세번째 프레임은 선발(영국,네덜)제국vs후발(독일,이탈)제국이 아프리카 등 식민지를 두고서 후발 제국인 독일이 공업력을 급격 신장하며 영국을 따라잡은 점이 논점이 되어 설명되는 프레임이다.

  네번째 프레임인 민주주의vs전체주의(파시즘,나치즘,군국주의)는 제 1,2차 세계대전의 이념대립양상이고, 마지막 동서,민족분쟁 프레임은 냉전시대와 현대의 중동문제나 다인종국가의 분쟁양상을 설명한다.


  <지도로 읽는다 한눈에 꿰뚫는 전쟁사도감>은 '전쟁'이라는 각양각색을 보이는 복잡한 모습5가지라는 정형화된 도식화 단순하게 만들어 낸다. 이른바 위에서 설명한 5가지의 '패턴화'이다. 전쟁이라는 현상에 대해 흥미를 갖고 공부해 나가는 학생이 읽기에 부담없는 책이 될 수도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