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 - 살아가는 동안 누구나 풀어야 할 본질적인 숙제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진희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부모의 노년을 책임지는 일은 모두가 당연히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문제지만, 막상 부닥치면 어렵다고 생각한다. 부모님의 노후간병에 대해 정작 준비한 사람도 자신에게 그 상황이 전개되면 처음엔 노력하지만 점점 심신의 부담과 함께 힘들어지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나 또한 부모 간병, 봉양에 대해 시급히 빨리 계획적, 체계적 준비를 해 나가야 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일본과는 사회구조가 비슷한 면이 많아 사회문제, 특히 사회구조에 기인한 문제는 닮아있는 면도 있다. 그렇게 볼 때, 인구고령화에 따른 부모의 노후문제는 정도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미래로, 심하게는 필연적으로 볼 필요도 있는 것 같다. 심지어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노인빈곤률이 압도적 1위이다. 그만큼 심각하게 인식할 문제인 것이다.


  <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는 미움받을 용기 1,2로 널리 알려진 기시미 이치로씨의 자전적 에세이다. 비교적 젊을 때 어머니를 떠나 보내고, 그러다 아버지 또한 치매로 간병하는 일을 겪었다. 담담한 어조로 그 때를 회상하며, 어떤 지혜를 얻었고, 어떤 마음자세가 중요한지를 얘기한다. 어쩔 땐 이런 저자의 담담한 어조가 더욱 비장함을 마음 속에 내재하고 있는 느낌을 받는다.


  저자의 가르침을 통해 <나이 든 부모를 사랑할 수 있습니까>를 읽는 목적을 다시금 생각할 수가 있었다. 주로 이 책은 아버지의 치매, 즉 치매라는 병에 대한 인식과 대처를 주력으로 전달한다. 치매의 특성으로 기억력 문제라던가, 감정적 문제 등 말이다. 그리고 하나 더, 나이 듦에 대한 근원적 인식의 문제이다. 어릴 때, 성장기의 어린이들은 다치더라도 거기서 경험을 얻어 다음엔 안 다칠 수가 있지만, 나이 들어가는 노인은 그것과는 또 다른 경우이다. 다치는 그 자체가 큰 중상이 되는데다 다치면 그것을 통해 다음 번엔 안 다치는 것이 아니다.


"부모란 자식이 아직 당신의 힘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느낄 때 책임감이 생겨 힘을 내는 법이다"

"치매란 회복된다는 건 이런저런 일을 기억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놓여 있는 상황이나 자신이 이 세계에서 어떤 인간관계 안에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전에는 뭐든 할 수 있었던 이상적인 부모님의 이미지를 머리에서 지운다"

"내가 옳고 상대방(부모님)이 틀렸다고 생각하면 권력싸움이 된다. 사이좋게 지내기 위해서는 물러나는 수 밖에 없다"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가족끼리 어딘가 어색해졌다고 느낄 때, 우리는 처음으로 깨닫게 됩니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던 부모님이 사실은 가족을 하나로 연결해주는 상징이었다는 것을요. 그렇게 가족에게 기여하고 있었다는 것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