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범한 대화 - 평범한 사람은 어떻게 비범한 승리를 얻을 수 있는가?
댄 월드슈미트 지음, 변봉룡 옮김 / 우현북스 / 2017년 1월
평점 :
책 표지도 그렇지만 책 도입부를 읽으며 강한 임팩트를 느꼈다.
책을 한번에 다 읽겠다는 각오와 함께 속도감을 가지고 읽어서 그런지, 책 내용을 자세히 소개할 수는 없지만 임팩트와 감흥을 크게 받았고, 여운도 남는다. (그리고 책을 읽은 소회를 간단히 적고 그뿐만 아니라 유익했던 구절도 몇 가지 소개해볼까 한다.)
<비범한 대화>에서는 '행동'은 누구나가 다 알고 있다고 한다. 비유가 적절한지는 모르지만 매뉴얼이나, 고정된 행동지침은 누구나 알고 있고, 더구나 여러 자기계발 책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렇기에 저자 댄 월드슈미트는 그러한 행동보다는 '태도', 어떤 마음을 갖고 행동해야할 지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저자는 지금 당장, 일시적, 순간적 안락을 거부하고 비범해지기 위해 노력하라고 제언한다. 저자가 산 경험이 녹아든 이러한 동기부여와 그의 철학은 여타 자기계발서와는 다소 차별화된다. 저자 자신도 자기에 대해 별나다는 인식을 가지는 것 같다. 그 별나고 차별화되는 것은 균형보다는 '극한'을 추구하는 자세다. 저자에게 있어서 균형은 평범과 안주에 다름아니다. 그래서 저자는 자신도 그래서 성공해왔고 다른 유명인의 사례를 들며 공감을 이끌어내며 설득력있게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이 비범하고 엣지있게 되기 위한 저자의 또다른 주장을 보면 극한적 생활양식(+혹독한 단련)과 조금 상관성없게 느껴지는 베풂과 사랑이 있다. 이는 극한과 함께 양축이다. 요지부터 말하면 진정성있는 베풂을 히야하고 사랑은 그 어떤 세상의 변혁보다 효과적인 변혁의 동인이라는 것이다. 솔직히 베풂과 사랑은 내 처지가 나아진 후에 해도 늦지않다고 여기지만 베풂과 사랑은 성과도 이끌어 낸다.
참고로 <비범한 대화>에 위에 말한 것 외에 개인적으로 내가 인상이 깊었던 부분을 소개하자면 "고통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비범해지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가"라는 것이다. 고통과 두려움은 누구라도 겪는 장애로 마음 속 깊은 상처를 낼 수 있다. 이러한 상처는 심각한 외상으로 보이진 않지만 용기와 자신감을 짓누르게 되는데 저자는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이같은 상처에 대해 경험할 수 있었던 어떤 자리에서 의미있는 조언을 한다.
책의 형식은 저자가 말하는 비범하고 탁월해지기 위한 안내글과 미국 저명 인사의 실제 사례를 함께 제시하기 때문에 동기부여의 효과가 높은 것은 물론이고, 책을 읽는데 지루하거나 긴장이 떨어지는 일은 거의 없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