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미래보고서 2055 - 박영숙 교수의 <유엔미래보고서> 2017년 최신판
박영숙.제롬 글렌 지음, 이영래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유엔미래보고서'로 이름지어 나왔던 시리즈가 이름에서 뜻하지 않은 오해로 필자를 비롯해 많은 분들에 피해가 있어서 이제부터 '세계미래보고서'로 이름지어 나오게 되었다고 한다.


  연례적으로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작년엔 미래테크놀로지에 대해 현재 상태와 전망을 보도, 기획한 방송프로그램을 못 본 것 같다. 대신에 언론이나 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미래에 대한 큰 그림의 바탕 윤곽을 일부 본 것 같다. 올해 시작을 이런 미래전망서와 컨택하는 것도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다.


  작년에 인상깊게 읽은 <유엔미래보고서 2050>에서 특히 블록체인, 합성생물학 등을 언급한 적이 있다. 영화나 오락으로만 보던 것이 일정 설명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번 <세계미래보고서 2055>에서는 이전 2040이었던가 2045이었던가 앞으로 미국을 넘어 중국이 최강대국이 되고, 그러나 다시 최대 인구를 가진 인도가 중국을 넘어 최강대국이 된다는 미래전망이나 이를 바탕해 많은 인구를 보유한 국가가 대개 GDP(조금은 낡은 국가간 지표이긴 하지만) 강국이 된다는 얘기, 또 지난 2050에 나온 기본소득이 보편화(가깝게는 보장)되기에 이젠 일의 보람과 자신만의 목적을 추구한다는 얘기가 서두에 나와 있다.


  개인적 견해로 보건대 현재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것이라 전망하는 IoT나 나노기술, 그래핀 보급화, 자율주행차, 대용량 배터리(ESS), 태양광발전 보급화 등이 2055년이라는 먼 미래에는 이 각각의 기술이 서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IoT와 나노기술을 접목한 나노센서가 장착된 사물간의 네트워크(사물인터넷)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세계미래보고서 2055>에서는 인간의 영생을 바라보게 하는 '텔로미어''유전자 가위기술'이나 '인공지능''4차산업혁명'에 대한 최신 동향에 대해서도 일단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따로 할애된 넥스트 거버먼트와 권력의 분산에서 언급하는 거버넌스2.0(대표적으로 비트네이션Bitnation)에 눈길이 간다.


  지난 번에도 언급한 것 같은데, 이 책은 책의 특성상 다루는 범위가 지극히 넓기때문에 여기에 특화한 책으로선('미래'에 대한 책) 제일 낫다는 생각이다. 이에 잘 정리된 유익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