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교육대기획 시험 - 최상위 1% 엘리트들의 충격적이고 생생한 민낯!
EBS <시험> 제작팀 지음 / 북하우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험을 의심하다, 이 말은 <EBS 교육대기획 시험>에 첫 머리에 나오는 말이다. 시험이 객관적 지표로써 수험생들의 능력과 노력을 제대로 반영해 평가하고 있는지를 회의적으로 본다는 말이다.



  파트1은 교육열이 높으면서 우리와는 비교되는 국가들의 시험(제도)를 보여준다. 인도, 중국, 프랑스, 독일의 시험을 통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다수 나라의 '시험'이라는 것이 갖는 전반적 인식과 이들 국가 시험제도의 특징을 파헤친다. 프랑스의 바칼로레아를 제외하곤 인도, 중국의 가오카오, 독일의 아비투어는 다소 생소하긴 하다.



  파트2는 시험은 <EBS 교육대기획 시험>에서 가장 흥미로운 대목이었다. 좋은 성적은 유전적 인자가 작용하는 면이 있는 거라서 돈으로 살 수 없지 않나 싶으면서도 이외에도 일명 '패턴'이라는 시험이 갖는 하나의 일면을 엿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공부는 끝이 없다고 하는데 일종의 패턴을 연구하면 그 근사치에 쉽게 도달할 수 있기는 하다. 이것은 시험의 특성상 그리고 우리나라의 특정한 시험의 성격으로 보기도 한다. 그렇지만 본질적 공부에 있어서는, 그리고 근본적 실력 향상에는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게 사실이다.



  파트3은 많은 사람이 TV를 보며 충격을 받았던 '서울대 A+의 비밀'이다. 우리나라의 최상위 엘리트들이 다니는 최고의 대학이 방송에서 정면에서 다루어져서 특히 화제가 된 것 같다. 이에 대해 책을 보면 '아직은~'과 '그럼에도 ~'라는 우리교육을 되짚어보고 현주소를, 해결방안을 고민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파트4는 '공시생에게는 계절의 변화가 없다'는 말이 머릿 속에 남는다. 정말 그렇다. 단순하게 토익, 수능과 비교해도 그 다음으로 응시생이 치열하다. 공시생 45만(응시자20만명)의 문제는 언론에서 사회적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가란 물음과 극소수 합격자를 제외한 나머지 이들은 이후 인생에 있어서 진로를 바꾸는 등 해도 대다수가 후유증을 겪는다. 우리나라에서 이들의 고통은 정말 남일이 아니다.


  마지막 파트5는 <EBS 교육대기획 시험>을 정리하며 앞으로의 길을 모색하게 한다. 좀 더 생각해보면 '생각의 힘'을 키우는 것은 비단 후대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일이다. 좀 격하게 얘기하면 우리 주위의 환경은 자타의적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재빨리 대응하지 못하면 미래사회에 개인뿐 아니라 집단도 도태된다.


 
  <EBS 교육대기획 시험>은 피하고 싶다고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시험'이라는 편협한 인식에서 벗어나 좀 더 큰 틀에서 '시험'을 인식할 수 있는 유익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