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의 문제
J.A.홉슨 지음, 김정우 옮김 / 레디셋고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국주의론>으로 알려진 홉슨의 첫 단독 저서 <빈곤의 문제>이다. 사회 및 경제학에 대해 아는 것은 별로 없지만 이제 막 20세기에 접어든 시기 유럽 최고의 경제대국이던 영국의 빈곤문제를 일별해 볼 수 있는 책이었다.


  책소개를 보면 수정자본주의로 널리 알려진 케인즈가 훗날 찬사를 보낸 '경제학계의 이단아'라고 되어있다. <빈곤의 문제>를 읽으며 느낀 것은 런던을 중심으로 한 대도시들의 빈곤계층의 생활참상은 말로 표현하기가 힘들 정도였다는 사실이다.



  당시 영국은 오늘날 부익부빈익빈의 양극화처럼 도-농간의 극적 분화 및 격차가 점증했고 어디에서나 빈곤층을 볼 수가 있었다. 특히 도시화는 런던을 중심으로 한 전국 대도시에, 주로 런던의 동부 - 홉슨이 책에 적은 부둣가의 참상이 대표적 사례이다 - 에 초과 포화한 미숙련 하위 노동자의 삶의 환경은 외부의 도움(자선가)없이는 그 고리를 끊을 수 없는 악순환의 연속이다.


  따라서 이들 빈곤층이 겪는 기본권 이하의 생활환경은 정부당국의 도움없이 결코 나아질 수가 없다는 것이 홉슨의 주장이다.



  <빈곤의 문제>는 총 11장으로 되어있는데 1장은 빈곤의 측정으로 위 언급한 빈곤층이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이고 이들이 최소한으로 생계를 이어나가는 데 쓰는 생활비가 얼마인지를 소개한다.


  다음 2장은 산업 및 노동환경을 급속히 바꾸는 '기계화'가 노동자의 노동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미숙련된 하위 노동자로선 일단 전문화하는 기계에 종속되어가는 상황을 인식하게 한다.


  3장은 앞서 언급한 런던 및 대도시로의 인구집중인데, 이것이 진행되어 도시노동자계층이 런던 동부에 과밀화, 더해서 외부적 요인으로 외국인 노동자(유대인이 대표적) 유입은 빈곤한 하위노동자계층 사이에 생존경쟁을 격화시킨다.


  다음 4장부터 6장은 빈곤문제(일자리부족,저임금)의 해결을 어렵게하고 고착화하는 '고한'제도(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른 노동자 혹사의 참상을 통칭하는 표현)를 정의하는 작업을 하고 그 원인과 처방을 제시한다.
  원인은 고한의 근원인 소규모 고용주, 소규모 작업장이 근절되지 못하는 이유와 맞닿아 있으며 고용주의 책임의식 부재 또한 들 수가 있다.
  처방공장법의 정착, 미숙련노동자의 노동조합 설립지향, 공공작업장제도의 합리적 보완, 외국인 노동자의 영국으로의 이주제한 가능성, 8시간노동제의 임시실험 등을 들고 있다.
  7~8장도 비슷한 논의를 하며 특히 고한의 절대적 피해자인 여성노동자를 집중 조명한다. 
9~11장도 빈곤의 문제의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심도깊은 논의를 한다.



  리뷰 서두에 빈곤층의 참상에 대해 다소 격앙된 어조를 쓴 것은 이 책을 읽기 전 오늘날 빈곤문제에 대한 여러 생각들이 교차했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홉슨을 일정 알게 됐고, 그의 유명 저서 <제국주의론>도 기회를 만나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