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미안 ㅣ 코너스톤 세계문학 컬렉션 4
헤르만 헤세 지음, 이미영 옮김, 김선형 / 코너스톤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데미안>은 유년기, 청소년기 시절 여러 번 읽어볼 기회가 있었다. 유년기에는 내용이 어려워서인지 쉬이 다가오지 못했고, 청소년기에는 당시 교과서적인 소설에는 큰 관심도, 성장과 자아성찰을 다룬 소설은 유익하게도, 흥미있게도 느끼지 못했다. 그러다 나이를 제법 먹고 나서 다시금 책을 손에 잡았을 때, 청소년이 읽기에는 물론 성인이 읽기에도 좋은 내용이라는 글을 보았다. 잠깐 책의 소개를 접하니 인물간의 관계, 자아성찰이 흥미있게 느껴졌고 종교관도 드러나는 소설이라 느껴져 어떤 소설일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책을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주인공 싱클레어는 뭔가 감정이입이 되게 하는 그런 캐릭터였다. 어릴 적 겪는 감당 못하는 사건을 통해 삶의 평화가 깨졌고 데미안을 만나면서 다시 세계의 평화가 찾아온다.
데미안은 신비로운 친구이다. 누구나 유년기를 떠올리면 이러한 친구 한 명 정도는 떠오르지 않을까. 이렇게 내 어릴 적과 비교하며 읽어나가는게 이 <데미안>의 매력이 아닌가 싶다.
한편, 어릴 적 읽는 데미안의 상징적 은유가 조금 난해하긴 하겠지만 성인이 되어서 읽는 이러한 헤르만 헤세의 표현은 나이에 더해 원숙한 의미로 다가온다. 사실 먹은 나이만큼 비례해서 이해되는 건 아니지만 무엇보다 경험과 살아온 세월은 자신의 성장과정을 되돌아 볼 여유를 갖는 속에서 <데미안>에 온전히 근접할 수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한다.
싱클레어는 중등학교로 진학하며 데미안과 헤어지고 진학한 김나지움에서 술과 의미없는 공동체에 빠져 자기자신을 잃어간다. 이 대목에선 성장과정에서 필연에 가깝게 겪는 방황과 성장통, 자아탐색의 고통을 느꼈다. 그리고 이 대목 이전에 카인과 아벨의 성경이야기가 나왔었지만 이어서 아브락사스라는 신을 보는 관점 등 새로운 종교관을 접하는 주인공과 그를 통해 <데미안>의 또 다른 특징이었다.
이 소설의 출간 당시는 독일이 일으킨 제1차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이다. 전쟁에 대한 인식으로 인해 작품에 대한 일부 비판도 있지만 46년 노벨상 수상까지 작품의 전체적 의의는 퇴색하지 않았다. 작품의 환상적 묘사로 알에서 나오려는 새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라는 말이 인상적이다. 자아성찰의 여로를 그린 세계문학 <데미안>으로 과거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