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 동서대전 - 이덕무에서 쇼펜하우어까지 최고 문장가들의 핵심 전략과 글쓰기 인문학
한정주 지음 / 김영사 / 2016년 6월
평점 :
이 책을 읽으며
'글쓰기'행위는 문학적 행위 이전에 철학적, 사상적 행위라는 것을 크게 깨달았다. <글쓰기 동서대전>은
9가지 글쓰기 방식과 각 방식에 한국, 중국, 일본, 서양의 대표적 문장가를 각각
소개하며 이들의 글쓰기를 그들의 철학, 사상, 저작을 통해 해설하는 책이다.
9가지 글쓰기는 각각 저마다 지향하는 바가 분명하고 심원, 광대했기 때문에 오롯이
다 취하는 것은 쉽지 않게 느껴진다. 다시 말하면 다종다양한 글쓰기 중 하나만 정확하고 확실하게 내 것으로 만든다면 글쓰기에 자신감이 붙는 것은
당연할 터였다.
9가지 글쓰기를 접하면서 대부분은 마음이 크게 동했지만 하나 기궤첨신은 크게 동한
건 아니었다. 이는 아직까지 나 자신도 그 연유를 잘 모르겠다. 이해하지 못한 것도 끌리지 않은 것도 아닌데 아직은 내 기량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런 한계선 상에서 이 책은 정말 저자 한정주 대표처럼 역사,고전,사상,인문
방면에 지대한 관심사를 가진, 그러나 지식은 부족한 독자에게 종합선물세트 같은 책이 아닌가 싶다. 이같은 표현은 본 서평의 말미에 그 근거를
적도록 하겠다.
앞서 말했듯 이 책의 가치는 제대로 알아보았지만 본인의 역량 부족으로 9가지
글쓰기 방식 모두를 온전히 내 것으로 받아들이진 못했다. 그렇지만 작법, 기교, 표현술 면에서 누구가 되었든지 일단 쉽기때문에 접근이 크게
어렵지 않았던 동심의 글쓰기, 그리고 차이와 다양성의 글쓰기, 자의식의 글쓰기에 대해 본인의 사색과 텍스트가 만나는
접점을 인용해 보려고 한다. (또는 인용없이 본인 소견小見를 적어보려 한다)
참고로 본 필자가 좀 전에 '온전히 내 것으로 받아들이진 못했다'라고 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대목이다. <글쓰기 동서대전>에서 저자는 말한다. 마지막 9번째 글쓰기, 자득의 글쓰기가 책이 소개하는 글쓰기 방식들
중에서 궁극적 경지라고 말한다. 이는 문학적 측면에서는 '독창적, 개성적
글쓰기'로서 스스로 깨달아 터득한 문장만들 작필해 남을 모방, 답습하지 않는 글쓰기이기 때문이다.
- 1장, 동심의 글쓰기('이탁오'에서)
대개 사람들이 글을 잘 지으려고 쌓는 견문과 지식이나 인위적인 경험과
작용이 오히려 '동심'을 가리고 해쳐서 최초의 본심, 곧 진실한 마음을 잃게 만든다고 역설한다. 천진함과 순수한 진정은 앞서도 강조했듯이, 많이
보고 듣고 배운다고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억지로 힘쓰고 노력한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견문과 지식이 쌓이고,
아는 것과 깨닫는 것이 깊어지고 넓어져도 동심을 잃지 않아야 한다.
- 33면
- 6장, 차이와 다양성의
글쓰기('니체'에서)
엄격하게 따져 문학작품(글쓰기) 역시 작가의 철학적
사유의 산물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 (중략) ~ 글을 쓸 때 바탕이 되는 철학적 사유를 기르고 미학적 사고를 키우는 데 일조할 것이다.
이 철학, 미학적 사고라는 것은 다름아니라 작가 의식이다. 필자가 생각할 때, 작품의 가치 평가는 작가 의식이 있는가 혹은 없는가 또는 작가
의식이 무엇인가에 따라 비평할 수 있을 따름이다.
- 414면
사물의 근원(기원)은 한 겹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것은 벗기면 벗길수록 수많은 사건과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는 수천의 겹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문학가와 철학자는 "수천 겹의 주름 속에
숨겨진" 무수한 사건을 탐색하고 새로운 사실을 탐사하는 '세계의 탐험가'이자 수천 겹의 원인과 수천 겹의 결과를 세상 밖을 드러내는 '지식의
고고학자'이자 '도덕의 계보학자'가 되어야 한다.
- 417면
니체가 자신의 글이 문자로 읽혀지기보다는 화살로
쏘아지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 419면
- 8장, 자의식의 글쓰기(본인 주관적
소견를 밝힘)
9가지 글쓰기 스타일은 소개
그 자체만으로도 심히 분량이 방대하고 텍스트가 전하는 깊이 또한 심원한데, 이
중 내 스타일을 탐색해 본다면 자의식의 글쓰기 타입이다. <글쓰기 동서대전>에서 언급하는 자전(자서전) 장르 타입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건데 이같은 글쓰기 타입의 형식과 정신은 깊은 수행과 사유과 동반되어야 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동양적 자전의 시작과 같이 (예를 들어)
나는 민주화 항쟁의 결실이 일어나기 1년 전에 태어났다 식으로 개인과 사회의 관계성 속에서 자아, 자의식의 진로를 모색하는 식의 글쓰기가 특히
매력있게 다가온 탓이다.
<글쓰기 동서대전>의 효용을
언급하며 왜 이 책이 종합선물세트와 같은가라는 평의 근거까지 포괄하려 한다.
이 책의 표지나 소개글으 보면 일반 시중에
나온 식상한 글쓰기 책이라 넘겨짚거나 또는 평범한 인문학 책이라 단정할 지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은 팔색조같은 매력을 갖고 있다. 어떨 땐 글쓰기 참고서로, 어쩔 땐
작가,작품해설서로, 때로는 문학사史서로, 때로는 경계를 넘어 역사까지 언급하기에 이런 다종다양한 성격의 도서를 한 데 융합한 듯 느끼기
때문이다.
이 책 텍스트의 바탕이 된 한정주 대표의
'조선 지식인의 글쓰기 철학' 대중 공개 강좌이다. 비록 이덕무, 이탁오 등의 문장가가 생소하게 느껴질 지 모르나 이들 36人의 글쓰기 핵심의
사상, 전략, 가치는 책읽는 예비 독자의 글쓰기를 잘 어루만져 줄 것이고, 이들 글쓰기를 본보기삼아 배우고 싶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이 책은 이 책을 글쓰기 책으로 보든, 인문학(문학, 역사,
철학) 도서로 보든 그 보는 방향에 따라 어느 방향이 되었든 읽는 이에게 효용을 주고 유익함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