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년 후 대한민국 : 뉴노멀 시대의 성장전략 ㅣ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외 지음 / 시간여행 / 2016년 4월
평점 :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이 고착화되고, 우리나라의 주력 업종의 기술력이 중국 및 신흥국들에 맹추격을 받고 있다. 기존 제조업 외에도 바이오헬스, 제약, IoT(사물인터넷), 무인자율주행차, 첨단로봇, 연료전지 등 신성장
동력 발굴 및 정부차원의 지원, 인센티브가 있어야 이 어려운 국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각 주요국의 저성장 사례를
보면서 구조적인 저성장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 지에 전략적 전언을 듣고 싶다.
|
내가 느끼기로
최근 1년 사이 '저성장'을 '우려'하던 게 이제
당면한 현실로 '규정'하고 있는 것 같다. 그만큼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저성장이 경제수치로도 드러나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사실 그럼에도 보도를 보면 전세계적인 국면에서 저성장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선방한다, 반면 수출입국인 대한민국에서 중국 등
신흥대외시장에서 활로가 보이지 않는다는 식으로 현 경기 상황을 헷갈리게 판단하게 하는 요소도 있어보인다)
<10년 후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의 성장전략>는 중국 대외 의존도
심화라는 측면에서 보는 기존의 통념을 벗어나 우리 내부 자체에서 기인한 패착 원인(전략산업이 추격형 이후 창조성 부족, 신성장 산업의 적극적 추진력 부족 등)에서 문제의식을 제시하는 듯하다.
그런
면에서 <10년 후 대한민국 뉴노멀 시대의 성장전략>에서는 다양한 각에서 우리나라의 산업현황과 앞으로 미래 먹거리 신성장산업을
안내하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도표와 그래프 등 시각자료를 삽입, 풍부하게 담아 보다 빠르게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책의 절반
이상을 할애해서 앞으로 10년 후 미래를 전략적으로 준비하는데 그 중요성을 강조한다.
1.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
2. 신유방산업 창출
3.
과학기술, ICT 기반 신서비스 육성
4.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창의
인프라 조성
이상
위의 네 가지가 우리가 준비해야 할 전략적 목표이다.
결론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성장전략'이란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 되는) 기존 주력산업과 인공지능, 정보통신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첨단화, 그리고 유망산업을 발굴해 신성장 엔진으로 삼는 것, 마지막으로 글로벌 서비스 산업의 육성이다. 이러한 목표전략을 위해 개인적 차원에서의 노력 또한 중요한데, 알뜰 소비, 공유경제 참여 등을
통해 보탬이 된다는 사실 잊지 않겠단 생각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