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유를 읽다 - 법정 스님으로부터
고수유 지음 / 씽크스마트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래에 읽은 <설전>과 더불어 오늘 다 읽은 <무소유를 읽다>는 (현대인의) 바쁜 일상 와중에 나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가지고 나와 타인, 그리고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베풂'을 다시금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전에는 종교가 없었지만 근래에 종교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으레 불교라고 대답한다. 이러한 대답을 하게 된 데는 아마도 성철, 법정 스님, 더 거슬러 올라가면 근대불교의 중흥조인 경허 스님 등 불교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으로 인하여 접한 인연이기 때문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라면 캠퍼스 시절 들은 수업 중 수강과목명과는 범위가 달랐지만 불교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 당시 개인사 때문에 접하던 불교와 수업 때 들은 불교가 만나면서 작금의 불교를 향한 관심이 지속할 수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무소유를 읽다>는 법정 스님 개인사를 호감이 있어 연구한 고수유 씨가 엮은 책으로 법정 스님이 출가하게 된 사연에 이야기부터 스님의 거처를 따라 문필가로서의 법정 스님의 일기를 편집한 책이다. 그래서 이 책에는 법정스님의 행적, 사상, 정신이 오롯이 담겨 있다.
그래서 책의 구성을 보면 1장 출가와 수행, 2장 해인사 시절, 3장 다래헌 시절, 4장 불일암 시절, 5장 강원도 오두막 시절 로 되어 있다.
  이 책을 읽은 많은 이들의 감상이 법정 스님의 '무소유 정신'을 요체로 불교 정화, 실천적 삶, 돈오점수, 무주상보시 정신을 자신의 내면 및 삶과 접목한 깨달음을 사례로 들고 있다.


  개인적으로 법정스님이 쓴 <무소유>, 그 밖의 산문에세이를 읽어보진 않았지만 <무소유를 읽다>를 통해 얕지만 일정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현재를 집중해 살아나간다', '죽음'을 본질로서 관조하는 법, 앞서 말한 무엇보다 '무주상보시', '무소유 정신'을 통해 비록 긴 시간이 지났지만 오늘날 평범한 나에게까지 "맑고 향기롭게 전해지는" 법정 스님의 메시지는 과거로부터의 집착, 성공적 미래를 갈급해 하는 어리석은 내면의 자아에게 경종을 울린다. 또 '무일물無一物'적 삶까지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