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 읽는 힘 - 지적 교양을 위한 철학 안내서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홍성민 옮김 / 프런티어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 나라에서도 여러 책을 통해 인기를 가진 사이토 다카시 교수의 책은 처음 읽어보는데 제목이 <철학 읽는 힘>이다. 이 책은
서양철학사의 거점식으로 다루고 있다. 이 거점을 구분하는 시기를 보면 '고대 그리스의 철학'에서
태동해 '기독교관'의 중세를 지나 '합리주의의 데카르트와 관념론의 칸트,
변증법의 헤겔'을 경유해 '니체,하이데거,구조주의'에 이르는
여정이다.
<철학 읽는 힘>은 사이토 다카시 교수의 대중적 글쓰기 스타일, 그
스타일이란 자신의 삶의 스토리와 인생에서의 깨달음을 책 안 텍스트(지식정보)에다 녹여낸 점인데 대중교양서를 표방하는 의도로써 그가 한때
몰두했던 '서양철학사'를 너무 방대하다고 느끼거나 마냥 딱딱하고, 고루하고, 지루하게 느꼈던 독자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저자에 따르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전해진 아리스토텔레스代에 이르게 되면 당대의 제분야의 학문이 집대성을 이루고 이는 기독교 교리와 함께 근대에
합리주의의 출현 전까지 서양세계에서 세계관을 약 2,000년이나 되는 시간동안 강고하게 지배했다고 한다. 심지어 이를 아리스토텔레스제국이라고까지 한다.
서양철학사에 관심있다면 고대 그리스철학을
읽으면서 고대 그리스의 역사, 인물을 접하다 낯선 이름을 접하다 지치고 중세 기독교 중심의 세계관 (예를 들어 움베르트 에코의 '장미의 이름')
에 이르면 교권(교황)과 황제 간 대립과 마찰의 역사를 보다가 지치고 겨우내 르네상스운동에 이르게 된다. 이 복잡해서 지치게 한 2,000년의
역사를 사이토 다카시는 서양철학사를 자의적으로 나눈 세 거점 중 첫 거점으로 보아 아리스토텔리스 및 기독교에 의한 제국건설로 명명한
것이다.
다음 시기인 합리주의의 등장이다. 이 때 부터는 신에 대한 의지만에서 차츰 거리가 생기게 되고 인간 이성에 점차 자신감을 보이기 시작한다.
자연과학의 발전과 (큰 틀에서 르네상스라는 신문화운동의 조류 속에서) 일명 근대적 자아 각성을 거쳐 헤겔의 '절대정신'에 이르게 된다.
한 인간의 생애에서 더 나아가 인류의 역사가 인간 이성 발전에 있다고 보고 인간의 정신에
신뢰를 부여해 '절대정신'이라고 한 것이다.
다음 시기는 실존주의의 니체, 하이데거, 그리고 구조주의의 소쉬르이다.
이 시기부터는 알다시피 다양한 철학사조로 분파되어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가장 난해하지 않나 싶다. 그렇지만 저자에 따르면 이 시기는 직전의 절대정신에 이르러 완성된 기존 서양철학사를 해체하는 시기라고 한다. 책의 구성도
그렇고 서양철학사 구분의 마지막 시기임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사족이지만 다윈, 프로이트, 마르크스까지 사회로의 영향력에 미루어 사상이라
언급하기도 한다.
<철학 읽는 힘>은 무엇보다 서양철학을 입문하거나 개략적으로 구분짓는다. 속된 말로 토막쳐내어 한 눈에 보기 좋게, 흐름을
이해하게 하려는 생각인 것이라 미루어본다.
이렇게 책의 의도 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읽어내는 중요한 척도인 번역또한 매끄러워 읽기에
좋다. <혼자있는 시간의 힘>, <내가 공부하는 이유>, <잡담이 능력이다> 등 사이토 다카시의 책을 읽어본
독자라면 이 책도 부담없이 읽기에 좋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