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미래보고서 2050 - 미래사회,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말한다
박영숙.제롬 글렌 지음, 이영래 옮김 / 교보문고(단행본)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엔미래보고서2050>에서도 밝히고 있으며 여타 미래예측에 대한 보고서를 매체를 통해 접하게 되면 미래에 있을 생활상을 그려보게 된다. 미래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면 기술에서 촉발해 이에 자극받고 또 변화라는 저항과 극적인 마찰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미래를 구성하는 인간 가치관, 사고방식의 변화양상으로 귀결한다는 말이 스쳐 떠오른다.

 

  신문, TV 등에서 미래에 등장할 신기술의 신개념, 연구과정 중의 창조적, 융합적 사고로 탄생하는 베타버젼 등 미래기술연구의 최첨단을 조명하는 취재기사를 보면 과거엔 낙관적 미래를 상상했지만 근래엔 이를 보면 그리 편리함에만 주목하게 되지 않는다. 아마 기대치가 적정치 못할 수도 있고 이러한 최첨단 연구와, 기술의 등장에는 그에 수반하는 반대급부가 상존한다는 걸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엔미래보고서2050> , <퓨쳐스마트>, <에너지혁명2030> 같은 책은 관심이 향하게 되는 책들이다.

 

(갑자기 1년 전쯤에 한 심야방송에서 미 실리콘밸리 등을 조명하면서 한 미래학자가 했던 말이 떠오른다. 기후변화가 해결되든 어쩌든 해저도시,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길에 대한 구상이었다)

 

  한편으론 그 대가라는 것이 과거엔 기계 대 인력 이라는 단순구도에서 실업의 문제를 생각했다면 오늘날은 '인간 노동'이라는 개념이 사라지는 자동화의 최첨단 시대의 도래에서 오는 불확실성의 문제가 대두한다.(이는 지극히 개인적 의견이다) 매우 극단적인 것도 같고 단편, 파편적 지식에 매몰된 미래예상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어찌됐든 <유엔미래보고서2050>에서 나오지만 앞으로는 생계가 보장되는 세계에서는 창의적이고 보람을 추구하는 직업이 출현한다는 예측이다. 미래를 예상하면서 이같은 예측은 미래에 국가간 경계가 진정 허물어지는 '블록체인', '비트네이션'이라는 초국가 개념과 함께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 밖에 또 주목하게 되는 것은 합성생물학이었다. 분명한 기준과 원칙, 고도의 윤리적 논의가 요구되는  쟁점이다.

 

  이번 <유엔미래보고서2050>은 전작과 함께 미래에의 다양하고 생산적인 가능성을 염두하고 예측을 돕는 유익한 책이었다. 거의 매해 출간되면서 전작들과 예측가능한 시점 확장 및 한층 심화된 논의를 통해 그 지평을 넓혀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