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파리드 자카리아 지음, 강주헌 옮김 / 사회평론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저자 파리드 자카리아는 <하버드 학생들은 더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에서 담대하고 일관되게 자신의 주장을 역설하고 있다. 자신이 미국고등교육기관의 교양교육에서 느낀 첫인상을 자신의 유년시절(고향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유학)을 얘기하는 대목에서 인상적으로 밝힌다. 저자는 오늘날 미국이 가진 특질이라고 할만한, (저자에 따르면) 미국의 고등교육기관이 설립되면서 발전한 교육이념이 퇴색하면서 그 요체였던 미국식(미국적) 교양교육의 위상이 줄어드는 현실을 설명한다.  저자는 미국이 초강대국인 지위를 유지한다는  공고한 기존의 견해를 거듭하는데에도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패권국 지위 유지의 명제들 중 하나로 삼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저자는 <하버드 학생들은 더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중반부에서 교양교육이 주는 세가지 유익함을 자신의 경험을 들며 설명하기도 한다. 개인적으로 첫번째 이점이 머리에 와 닿는다. 교양교육이 생각하는 법, 곧 글쓰는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인데 파리드 자카리아에 따르면 칼럼,시론을 예컨대 초고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표현한다는 식이다.


  마지막 장에서 그는 오늘날 미국의 젊은 세대에 대한 다수 기성세대의 비판과는 거리를 두면서 새로운 질서가 형성된 데에 대한 젊은 세대의 시류를 따른 적응으로 보고 있는 듯 하다. 말콤 글래드웰의 추천사(지식지형의 변화 언급)도 인상적이지만 개인의 지적인 내면 발전과 세상의 변화를 직시하기 위해서라도 교양교육의 필요성은 존재하지 않는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