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서 - 삶의 근원은 무엇인가 인문플러스 동양고전 100선
황석공 지음, 문이원 엮음, 신연우 감수 / 동아일보사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소서(素書)는 기이한 기원(유래)만큼이나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대단한 책인 것 같다. 이 감정을 짧게 요약하면 우리가 흔히 듣거나 찾는 많은 가치를 가진 주옥같은 문장을 잘 함축하고 있는 기서이다.


  동양고전을 기획 및 전담해 연구하는 문이원이라는 인문연구모임에서 중국고전의 의미를 우리 한국, 그리고 고대가 낳은 지혜를 오늘날 현대에 맞게 체계적으로, 현 실정에 맞게 맞춤형으로 해석해내 탄생한 책이다.


  이 책에 대한 소개를 처음 접했을 때 느꼈지만 이 책의 전래 또한 독특해서 이 책에서 받은 인상과 기대감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 소서(素書)범부가 읽을 책이 아니라는 ‘자격’에 관한 논함과 함께 책의 ‘목적’에 맞게 활용해야 한다는 대전제가 유독 아직 뇌리에 남아있다. 최근에 읽었던 잠언집들과는 또 다른 느낌이 들기도 한다. 잠언, 달리 격언이라고도 할 수 있는 문장들을 다룬 이 책은 읽는 사람, 읽는 당사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이 될 수가 있고, 흔한 미사여구로 말한다면 미언대의랄까... 전문 연구자의 조력으로 읽을 수 있는 것은 평범한 독자들에겐 큰 행운이자 기회가 될 것이다.

  이 책은 특정 관점이나 특정 시각에서 한정되어 어떤 한계가 있다거나 협소한 의미를 결코 전하지 않는다. 인생이라는 넓은 시공간에서 포용과 또 인생의 정수를 뽑아내었다. 개인적으로 이 책에서 강렬했던 것은 준(俊), 호(豪), 걸(傑)을 다룬 대목이었다.

  이 책을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형식적으로 원전(元典)은 비서(秘書)로 그 속에 담긴 말들을 잘 풀어내, 더 나아가 세상을 구하는 용처에 쓰는 것을 강조하는 바, 이러한 소서(素書)의 중요성에 따라 역자들은 <소서>에 적힌 문장을 구성하는 글자가 갖는 다양한 의미와, 앞서 말했듯 우리 실정에 맞는 특정 의미로 한정해 내는 무수한 노력과 인고의 시간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소서에서 이에 - 원전의 저자 황석공이 말한 <소서>가 요구하는 자격과 그 활용에 대해 - 담긴 문장들이 주는 ‘인생에서 갖는 근원적 물음’에 대한 부단한 고찰을 하는 과정에 보다 가깝게 다다를 수 있도록 등대 역할을 해준다.

  소서(素書)는 두고두고 읽으면서 곱씹어볼 여지가 많은 책이다. 인생에 대한 물음이 생길 때, 펼쳐보며 많은 생각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