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미국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
조지 레이코프 지음, 유나영 옮김, 나익주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10년 전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이유를 보며 짧은 개인적 지식을 동원해 이래저래 생각해 보면 공화당과 민주당이라는 양당제라는 구도와 이들의 수권 노력으로 보수(공화당)과 진보(민주당)가 서로 주고 받으며 - 때로는 보수가 굳은 시기도 있지만 - 미국 정치, 정당사가 쓰여지고 있는데 어느 한 학문의 학자가, 한 정치성향을 풍기는 학자가 자신이 창안(?!)한 개념을 가지고 보수진영 대 진보진영간의 주도권 싸움을 철저하고 날카롭게 분석하였으니 그 책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증폭되어갔을 것이 다소 추측되는 부분인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 미국 정치와 맞물리는 우리나라의 정치가 같이 생각이 났다. 한 언론에서 들은 바로 ‘10년 주기라고 해서 보수정권과 진보정권이 번갈아가며 정권을 획득해 가는 상황을 가리키면서 한편 이것이 건강한 정치생태계(?!)를 보여준다고 - 정확한 용어가 잘 기억나진 않지만 - 지적했던 것도 생각났다.

 

  저자 조지 레이코프는 - 나중에 그의 핵심 개념인 프레임(frame)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겠지만 - 인지언어학이라는 자기의 전문성과 개성적이랄까 그런 확고히 자기 시각을 가졌기에 더욱 영향력과 파급력을 끼쳤던 것이라 생각한다.

   흥미로웠던 것은 보수와 진보간의 대결 구도를 표현하는 부분에서 저자의 특유의  눈을 느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제는 언론에서 그의 프레임이라는 개념이 워낙에 통용되기에 독자인 나에게도 대체불가능한 용어가 된 것에서도 뭔가 흥미로운 느낌이 드는 게 당연 이상하지 않다.

 

  프레임(frame)은 인지과학상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대중의 이해와 설득을 구하는 매우 요구되는 툴이다. 이러한 프레임은 진보진영이 구축하기 위해 보수진영과 같이 선제적이거나 그에 준하는 대응을 해야한다고 말하며 그에 따른 11가지 제언을 저자 레이코프는 제시했다.

프레임에 대한 오해로 - 프레임을 형성키 위한 장기적인 노력들 - ‘저인지를 극복 못하지 않기 위해 그의 주장을 날카롭게, 한편으론 투박하게 펼쳐나간다.

 

  이 책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읽고 나면 정치 담론이나, 슬로건 등 짧지만 언어학적 눈이 생기는 것 같은 느낌이다. 개인적으론 신선하고 담백하고, 매우 주관이 강하단 느낌을 받았고, 세계적 이슈에 대해서도 안목을 얻을 수 있는 유익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