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에게 인간관계를 묻다 - 왜 모두에게 인정받으려 하는가?
기시미 이치로 지음, 유미진 옮김 / 카시오페아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유익함은 먼저 기시미 이치로의 앞선 3편의 저작의 후속이지만, 그가 일관되게 주장하는 아들러심리학을 실례에서 겪었던 사연과 자신의 인생사와 잘 버무려 실천할 수 있게 했다는 점과 요즘 책의 분야를 가릴 것 없이 전방위적으로 화두가 되는 ‘관계’‘에서 그 중에서도 뜨거운 감자인 ’인간관계‘에 대한 멘토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 책의 포인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저자 기시미 이치로의 말대로 책에서 구분한 자신, 친구, 직장, 연인, 부부, 가족 이라는 각기 다른 환경에서의 관계에 대한 아들러식 처방전의 제시속에서, 읽는 독자의 입장에 해당되지 않는 (가령 미혼자일 경우 부부관계는 아직 경험 못한 ‘관계’이겠지만) 관계일지라도 미리 가상경험해 본다거나 관계에 대한 이해의 스펙트럼을 넓혀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해해 보는 노력의 자세를 갖춰보는 것은 이 책을 읽겠다는 동기와 목적인 바 아들러심리학을 이해하는 한 방편 중 하나를 취하고, 주변부에서 접하는 여러 심인성 상처(트라우마)에 공감하는 바 알고 싶었던 아들러식 카운슬링(심리적인 문제나 고민이 있는 사람에게 실시하는 상담 활동)을 취하는 소기의 성과가 될 것 같다.

 

책에서 많이 할애하고 있는 ‘관계’인 가족관계는 흔히 미디어에서 접하는 청소년의 일탈과 비행에서 고민하는 부모에게 내리는 처방에선 비록 이들 각각과 같은 처지에서 나 또한 해당하는 입장은 아니지만 청소년으로써 입장에겐 과거 부모님에게 바랐던 나의 속마음이 흡사했고, 부모로써 입장이 견지할 것을 제시하는 대목에서는 큰 결단과 내적 번민을 수반하는 열린 자세를 주문하는 것에서 아들러식 처방의 큰 맥脈을 느낄 수 있었다. 많은 이들이 ‘인간관계’의 문제를 풀려고 다방면으로 분주히 해법을 찾아보지만 개개의 ‘관계’의 범람속에서 정작 본인이 자칫 좌초될 수 있었다. 다소 파격적이지만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처방은 간명하고 신선한 가르침을 주고 있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