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벽 3시 - 생각이 많아진 너에게 필요한 영혼의 처방전
샤론 르벨 엮음, 정영목 옮김, 에픽테토스 원작 / 싱긋 / 201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서 얻은 나의 단편적인 인식을 몇가지 적음으로써 책에 대한 감상을 대신해 전달해 보려고 한다.
순리대로 살아라, 이 말은 목욕, 식사처럼 일상 속에서 행하는 기본적 활동에서 자연스럽게, 그리고 이치에 맞게 행동하는지 체킹해보면 그 의미를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관점과 방식을 전환함으로써 자신의 이성과 원하는 것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에픽테토스가 누차 강조하는 이성, 이성주의... 스토아학파의 금욕주의를 상기해 본다. 인간의 역사에서 인간사유의 진보과정을 살펴볼 때(‘진보’보다는 새로운 윤리적 가치를 발견했다고 보는게 더 맞지 않나 싶지만), 또 윤리의 연혁을 볼 때 이성주의는 지금의 가장 현실에 적용가능한 윤리라고 볼 수 없으리라. 최근엔 반이성주의 등이 있다는 걸 볼 때가 있기에 그런 것 같다.
Your Will Is always within Your power... 이 말을 달리 생각해보면 사실 그 무엇도 당신(행동)을 막을 수 없다. 다만 당신의 의지에 촉발된 행동일 경우에 그것은 모두가 적용이 된다 라고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에픽테토스의 잠언을 보면 덕을 가졌을 때 무적이다, 아무도 당신을 해칠 수 없다 등의 강한 어필을 주는 잠언도 있다. 이는 매우 강력하고 실용적인 메시지를 던져준다. 어떤 외부상황에 맞닦뜨리 더라도 자신의 숙고와 이성에 바탕된 반응(action)이 나온다면 이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의 메시지는 또한 정언적이지만 듣는 이를 주눅 들게 하지는 않는다.
즉각적 만족보다는 지속적 만족을 택하라. 이 말은 20대에 시작된 왕성한 혈기 때는 이해되지 않던 것이 30대로 접어들 나이가 되니 뭔가 와 닿는 말인 것 같다.
에픽테토스의 가르침은 이성의 돌봄을 강조하는데 그의 금욕을 강조하는 수단만이 아니고, 인생을 살아가는 힘의 근원의 양대 축인 동물적 본능과 이성에서 삶을 살아가는 법을 가르쳐 주는건 이성이라고 말한다. 이 삶을 살아가는 법은 자연의 법칙을 이해해 삶을 높은 단계까지 끌어올리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현상을 올바로 보고 표현하라는 말도 와 닿는다. 누군가 포도주를 많이 마시는 것을 보았을 때, 자기기준에서 그를 술주정뱅이라 말하지 말고,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이라고 말하라는 것이 그것인데, 이 말의 함의는 깊기도 하겠다. 내게는 나의 인식체계에 근거한 선입견, 편견을 지양하고 보이는 그대로 정확하게 인식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이성에 충실하는 것과 혁신하는 것은 요즘 인문학 열풍의 현상과 그 해법이다. 이렇게 두 가치는 서로 대척되지 않을진데, 상반된 느낌을 주는 건 지금, 현재의 관습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 책은 이성만을 얘기하는 듯하나 이따금 혁신과 이성의 조화라는 상반되는 감정없이 현상과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데서 간명하고, 일견 타당한 것 같다.
가장 와 닿는 잠언은 우리의 이해력, 이해의 한계를 인정하라... 이다. 현재의 나는 수많은 생각들의 소용돌이 속에서, 나 주위의 만사를 내 의식과, 지식체계 안에서 이해하려는 약간은 모순되면서 불가능에 가까운 짓을 하고 있다.
분명 이 가르침대로 다 따라가진 못했지만 두고두고 생각이 많아질 때 꺼내들어야 할 책이란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