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 새벽의 주검
디온 메이어 지음, 강주헌 옮김 / arte(아르테)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소설 <오리온>은 문학이 주는 감수성에 목말라 있던 나에게 찾아온 사막의 오아시스였다. 최근 소설을 이렇게 스릴감있게 읽었던 적이 없었을 정도로 무던해 있던 나에게 딱 맞는, 그 내용이 현재 나의 취향과 맞아떨어졌다. 번역 또한 완벽한 하모니. 번역된 소설을 접한 적이 흔치 않았는데 읽는데 불편함을 전혀 느끼지 않았다. 또한 풍부한 어휘와 이야기의 상황과 문맥에 따라간 정확한 어휘 선정은 객관적으로 완벽하게 원작을 재현해 냈다. 또한 작품을 향해 쏟아진 여러 권위주체들의 찬사와, 작가를 향한 전위적, 개척자라는 표현에서 주는 낯선 인상이 부드럽고 편하게 읽히게 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신선함이란 풋사과의 첫 수확을 직접 한 입 베어문 과즙에서 나온 상큼함을 맛보는 듯한 기대감에 설레었다.

 

  소설 <오리온>은 형식으로 2가지 이야기 틀을 사용했다. 이야기 전개의 중심에 놓인 범죄사건과 주인공의 인생 여정, 즉 삶의 궤적이 그것이다. 일단 먼저 범죄는 철저히 제한된 상황과 수사진행이 꽉 막힌 답답한 국면과 주인공에게 주어진 제한된 시간에서 언제, 어디서 등장할지 모를 단서가, 주인공의 인생은 태어나기 이전부터 현재의 새롭게 태어난 그(주인공)의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흥미로운 것은 범죄의 수사 진행은 당시 복잡한 형국이었던 현대 아프리카, 그 중에서도 세계적으로 가장 모순되었다고 평가받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아파르헤이트(인종차별정책)”의 구도 속에서, 그의 삶의 궤적에서는 일반론적이면서 인류 영원의 고민인 “선악 이분법”, 인간 내적 심리라는 구도에서 표현되는 작가 디온 메이어의 “서사에의 의지”였다. 이는 그의 이력, 그 중 대학전공과 기자인 그의 직업을 보면서 느끼는 것인데,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앞서 말한 그의 전위적, 실험의, 탐구의 정신이다. 이를 간단히 단어로 나열해보면 현실에의 참여, 시대정신 추구, 법제도안에서의 반동(내지는 반응)이다. 사실 솔직히 디온 메이어의 작품 하나만 읽고서 그를 표현하는 데 주저해진다. 그렇지만 이렇게 생각한 연유는 소설가라고 하는 본질이 행하는 의무로써 캐릭터의 완전한 창조, 이에 살아있는 생명력 부여에서 그가 사명을 다한 것을 주인공의 인생 궤적을 통해 휴머니즘에 기반해 공감했기 때문이다.
  그는 어릴 적 어머니의 정성과 따뜻한 보살핌과 훈육 속에서 무탈하게 성인이 되고, 이 후 자유분방함속에서도 책임감을 감수하는 조건에서 현실의 쾌락을 탐닉하고, 인간적 갈등에 괴로워하며 번민하고, 크나큰 좌절에 삶을 포기 및 허비하기까지 하지만 삶을 다시 되돌아보며 내적으로 자신을 추동하는 원동력으로서 “힘의 의지력”을 형성했고 그래서 <오리온>은 이상적이며 현실적이다.

 

  디온 메이어의 이 작품은 독자에게 메시지를 주고 있다.
“자기 방어기제와 감춰 두었던 마음 깊숙한 곳에서 분출되는 인간적 내면의 욕구는 인간을 거세게 파괴시킬지 모르나 침몰시킬 수는 없다, 그 속에서 생성되는 뼈저린 경험과 다시 불타오르는 의지는 꺽지 못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