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품은 영어 이야기 - 천부적 이야기꾼이 들려주는 영어의 역사
필립 구든 지음, 서정아 옮김 / 허니와이즈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게 된 동기는 순전히 영어의 역사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었다. 한 언어의 역사를 알게된 건 한국어 이후로 처음이다.

내가 궁금했던 초기 영어의 성립과정을 책의 초반부에 제시해 주었다.

 

  책에 따르면 유럽-인도 어군 이라는 포괄 언어군이 있고 이를 구성하는 다양한 집단의 어파가 있었는데 영국에서는 켈트어파가 있었다. 이 곳에 당시 고대 팍스로마나로 정의되던 시대의 패권국인 로마가 기원전,후 1C에 선주민인 켈트족을 북스코틀랜드로 몰아내고 영국 중심부를 차지한다. 그러다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로마에 위기가 닥친 5C에 로마군이 영국에서 철수하고 앵글로색슨족이 그 빈자리를 차지한다. 그러면서 고대 영어가 발생을 한다. 앵글로색슨족은 켈트어를 수용하기도 하는 등 고대 영어를 기존보다 조금 풍부하게 한다. 여기서 나는 언어가 생멸할 뿐만 아니라 진화하는 걸 새삼 달리 느껴보았다. 이것은 후대에도 타언어가 부합하는 과정을 거치는 등 원리처럼 지속된다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앵글로색슨어가 고대 영어의 뿌리가 되는데 이후 바이킹족(데인인,노르드인)이 영국을 침략해서 일부 땅을 빼앗아 앵글로색슨족과 공생을 하다 앵글로색슨족의 앨프리드 대왕 이후 섬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후 1066년 노르만인이 영국 왕에 오르면서 상류계급은 노르만 프랑스어를 쓰게 되고, 하류층은 앵글로색슨어를 쓰게 되었다. 그러다 300년 후 둘 중 앵글로색슨어가 살아남게 되면서 낮은 지위의 중세 영어가 반전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도 앞서말했듯 언어의 수용이 있어서 노르만 프랑스어는 중세 영어의 스펙트럼을 넓혀주었다. 이는 법률, 외교, 교양전반, 고급패션, 요리에 주로 쓰였던 것을 말한다. 이런 영어는 근대에는 대항해시대를 거치며 영국제도(=영국섬)를 넘어 세계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영어의 성장역사 외에도 책에는 미국에서 수많은 제국들이 식민지를 쟁탈한 가운데 독립이전에 영어가 제1언어가 된 이유를 제시한다.

책에서 날카롭게 분석한 데에서 인상적으로 느낀 부분은 언어란 고정된 완성체가 아니라 생명체처럼 계속 진화한다, 영어는 더 이상 수입하는 것을 넘어서 수출하는 입장이 되었다는 부분과 또 하나 강한 인상을 받은 부분은 영어가 더 이상 섬에 국한되지 않으면서 다른 어파의 언어도 차용도 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프랑스에선 외교용어, 사랑과 연예와 관련된 말을, 기능성과 정확성이 특징인 라틴어에서는 일상에서 쓰는 약어가, 스페인어에선 남성성향의 단어가, 독일어에선 철학적 개념어가, 이태리어에선  쾌락적 표현을 차용한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 고대 영어의 출현과정의 궁금함에서 책을 읽을수록 현대영어 챕터가 흥미로웠다. 현시대, 현대인의 특징을 반영한 약어와, 두문자(흔히 아는 AIDS외에 CAD, 레이더, 스쿠버 등), 시조어 등. 참고로 radar(레이더)는 radio detection and ranging(무선 탐지 및 거리 측정기)이다.

 

  감히 총평하자면 책에사 다양한 자료들을 (사진, 삽화 등) 통해 루즈하지 않게 호기심을 잃지 않게 부분부분 흥미로울만한 컨텐츠(문학, 연설문 등)를 효과적으로 제시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