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엄마, 책 먹는 아이 - 한복희의 15년 살아 있는 독서지도
한복희 지음 / 여성신문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우리 학원에 다니는 2학년 여자 아이의 어머니와 상담을 한 일이 있었다. 어머니의 고민은 아이의 전반적인 성적과 공부 태도에 관한 것이었다. 상담 도중 아이의 책 읽는 습관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어머니께 아이가 꾸준히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도와 주셔야 한다는 말씀을 드렸다. 그랬더니 어머님이 하시는 말씀, “그게 맘처럼 잘 되나요?” 어머니의 말씀은 아무리 아이에게 책을 읽으라고 말을 해도 아이가 대충 읽는 척만 하고 제대로 읽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학부모들과 상담을 해보면 아이의 독서 습관이나 글쓰기 능력, 공부 습관 등에 대해 부모님은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은 채 아이에 대한 걱정만 하시거나, 무조건 학원에 맡기려고 하시는 분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요즘의 부모님들은 대부분이 맞벌이를 하시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아이들에게 있어서 부모의 역할, 특히 엄마의 역할은 그 아이의 인성과 창의력 등을 크게 좌우하는 것이어서 위와 같은 부모님을 뵐 경우엔 무척 안타까운 마음뿐이다.

 읽는 내내, 우리 학원 아이들의 모습이 하나, 하나 떠올라 너무나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 없었던 책. 한복희 선생님의 15년 독서지도사로의 노하우와 삶이 녹아 있는『책 읽는 엄마 책 먹는 아이』는 아이들과 가깝게 생활하며 가르치고 있는 나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준 책이었다.
 1장 ‘우리 엄마가 책을 읽어요.’에는 아이들에게 있어서 엄마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한 이야기와 책 읽는 방법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아이의 수업에 방해가 된다고 초인종도 못 누르게 하는 적극적인 어머니의 이야기부터 아이의 감수성을 키우기 위한 방법, 거실을 서재로 부엌을 도서관으로 바꾸어 아이들이 책을 가깝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방법 등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야기들은 이미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방법들이어서 조금은 식상하고 아쉬운 느낌을 준다. 독서에 있어서 부모, 특히 엄마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몇 번을 강조해도 모자랄 정도의 사실이지만 좀 더 비판적이고 현실적인 방안들을 이야기하였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2장 ‘우리 아이기 책을 읽어요.’에서는 저자가 아이들과 실제로 했던 수업 이야기를 소개하여 독서지도사로의 한복희 선생님의 행복한 삶과 보람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특히 우리 학원 아이들이 계속 떠올라 내 마음이 씁쓸하였다. 내가 가르치고 있는 아이들은 지역적인 특성상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시거나 한 부모 가정, 혹은 형편상 부모와 함께 생활하지 못하고 조부모님의 밑에서 자라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리고 경제적인 여건도 좋지 않아 보습학원에 보내는 것도 힘들어 학원비를 제 때에 못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여건 상 아이들에게 독서지도를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에 한복희 선생님의 아이들과의 즐거운 수업 이야기를 보니 부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우리 아이들이 너무나도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
 3장 ‘독서지도 방법’에서는 한복희 선생님의 노하우가 담긴 실제 독서지도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문학서를 통해 아이들의 어휘와 문화를 학습하는 방법, 전시회와 책을 연계하여 국어로 미술을 공부하는 방법, 청계천 헌책방으로의 견학이나 야외 수업 등의 활동 수업 방법 등이  실제로 아이들에게 독서지도를 하는 사람들이 적용할 수 있도록 자세히 소개되었다. 하지만 이 부분 역시, 아이들과 독서지도사 간의 구체적인 피드백 과정이나 각각의 독서지도 방법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조금 결여 되어 있는 점이 아쉽다. 사실 여타의 독서지도에 관련된 서적이나 인터넷의 독서지도사 카페, 사이트 등을 찾아보아도 얼마든지 독서지도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찾아 낼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각각 자신에 맞게 활용하는 것은 각자의 몫이지만 이제까지 많이 소개되어진 독서지도의 방법들이 너무 구태의연하고 식상한 것이 사실이다. 이 책 역시, 이미 많이 소개되어진 독서지도 방법들의 재나열에 그치고 있는 것 같아 여러 가지로 아쉬운 마음이 든다.

 얼마 전 엄마의 가출로 점점 비뚤어져만 가는 M, 일기를 쓰라고 하면 했던 일의 나열로 그치는 아이 P, 무서운 엄마 밑에서 난독증이 있고 공부에 전반적인 문제가 있는 K와 난폭한 K의 동생 B. 내가 이 책을 읽으며 계속 떠올랐던 우리 학원이 아이들이다. 이 아이들에게 내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아이들의 마음을 어루만져 줄 수 있는 선생님이 되기만을 항상 바랄뿐이다.
 우리 아이들을 보며,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요즘 너무 여러 가지로 소홀해지는 않았는가에 대해서 많이 반성을 하였다. 독서지도사 과정을 공부할 때 갖고 있던 내 열정과 아이들에 대한 마음이 많이 없어진 것 같다. 이제 헤이해진 내 마음을 다시 추스르고 아이들에게 진정 행복을 줄 수 있는, 우리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함께 웃을 수 있는 선생님이 되도록 열심히 노력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ulshulla 2008-07-23 1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읽었습니다. 이미 좋은 선생님이신 듯 합니다. 선생님과 아이들 모두 행복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