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집 - 대한제국 마지막 황족의 비사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덕혜옹주를 읽고 한참을 울었는데...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왕. 이 은.
일본 여성 마사코와 결혼하여 낳은 황세손 이 구.

조국이 아닌 타국에 살며 보내온 삶이 먹먹하게 가슴을 울렸다. 누구의 잘못도 아니지만...
제대로 된 삶을 살지 못했던 그 시간을...

어떻게도 보상받을 수 없고,
그 누구도 그들에게 용서를 구하지도 않았다.

역사 수업을 하며 우린 열심히 조국에 대해 배우고
우리 문화를 지켜야한다며 우리 것을 강조했다.

지금도 한글과 한복. 김치 등 우리 문화를 빼앗기지
않기위해 연애인들도 자신의 일처럼 발 벗고 나서고 있다

그러나
우린 우리의 마지막 왕. 고종과 순종에 대해 배우고
그 다음은 관심이 없었다.

독립운동을 한 애국단과 의사. 열사에 대해 관심을 두고
우리 왕실에 대해 잊고 있었다.

일본인들이 유도한대로...
그냥 그렇게 잊고 살았다.

덕혜옹주의 삶도 처참하고 한스러웠는데...
영왕의 삶은 더 가슴 아프다.

무엇가 노력도 하지 못하게 막아놓고...
그들의 쓰임에 맞게 이용하며...
생을 마치는 그 순간도 평민보다 못한 생활로...

자신의 삶이 어떤지 알았기에 황세손을 미국으로 보내고
자유로운 삶을 살기를 바랬는데...

명분이란는 굴레로...
황세손을 잡았다.

아무것도 그들을 보호해주지 못했는데...
나라가 안정되면서...
보여주기식 태도로 조선의 적통 직계손을 찾은 사람들.

나조차
이제야 알았다.

순종으로 끝난 황실이 아니었음을...

일본 여성 마사코와의 만남은 혼인을 전제로 한 것.
영왕을 받아들여야하는 마사코에게도 특별한 일.

조선이 일본의 속국으로 알고 있는 마사코의 눈으로
쓰여진 이야기는 영왕의 삶이 외롭고 쓸쓸하며 비참했으나 강직한 성품과 나라를 위하는 마음으로 준비한 서책은 진심으로 조선을 사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해방이 되어 조선으로 가서는 일본인 왕후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조정의 사람들로 인해 인고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P197
한 고개를 넘으면 또 고개가 보이는 힘든 상황에서는 반드시 붙어 있는 건만이 서로가 함께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된 때문이었으리라. 가까이 있어도 타인이 될 수 있고, 멀리 떨어져 있어도 늘 그리운 대상이 있을 수 있다는 아주 평범한 진실이 어머니에게 조금 더 큰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 것 같았다.

ㅡ 서로의 처지를 이해하고 마음으로 받아드린 두 사람. 그냥 평범한 신분이었다면 조금은 행복했을까 ? 다가오는 행복도 다른 사람들의 시선때문에 피해야하는 현실. 결혼은 국가간에 협의하여 진행했는데... 일본인과의 혼혈아를 왕실에 둘 수 없다는 사고방식은 무엇인지...
그래서 더 애틋하게 느껴지는 감정들......

P204
지킬 수 없는 것은 조국만이 아니었다.
아카시아 저택은 지켜낼 수 없었던 집이었다. '사라진 집' 이었다. '잃어버린 집' 이었다. 물 위에 집을 짓는 일을 꿈꾸었던 이 은은 있는 집도 지키지 못하는 허약하고 힘없는 평민일 뿐이었다.

ㅡ 내가 품고 있던 집. 그 조차 지키지 못하고, 제대로 된 예우도 받지 못하고 떠나야하는 절망감. 무엇을 해보지도 못하는 것 자체가 더 절망스러웠으리라......모국에서 버림 받고, 전쟁으로 아수라장이 되고, 임시즹부 . 그리고. 이념에 의해 대통령이 뽑히면서 설자리도 없어졌다.


일본 여행을 하다보면 신사의 80%가 우리의 조상이다. 신라인. 백제인. 고구려인. 발해인. 고려인까지... 장인이란 장인이 모두 끌려와 터를 잡고 생활하던 과거. 그들은 한 분야에 신이 되어 신사에 모셔지고 있었다.

지나간 과거의 역사.
현재까지 이어진 사연.

새삼 우리의 일제강점기에 숨겨진 이야기가 많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냥

가슴 아픈 사연에 목이 메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