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도시 - 대규모 전염병의 도전과 도시 문명의 미래
스티븐 존슨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진행중인 코로나...
150년 전 발생했던 콜레라...
비슷한 전염병은 세상을 공포로 몰아넣고 많은 사람을 희생했다.
풀리지 않는 바이러스와의 싸움.
지금은 과학적으로 확인하며 해결하려고 각계 각층에서 모여
함께 연구하고 있다. 150년 전 미신이 아닌 과학으로 접근해 해결 방법을 찾으려 했던 사람. 역사는 되풀이 되는 것 같다.

1854년 여름. 빅토리아 시대의 한가운데 세계 최대의 도시로 성장하고 있는 런던. 가난한 이들이 살던 소호 지역의 브로드 가를 중심으로 악독한 #콜레라 가 발병한다.
불과 열흘 만에 진원지로부터 반경 225m 이내에 거주하던 사람들 중 500명 이상이 쓰러지고,특히 브로드 가에서는 열 명 중 한 명꼴로 사망자가 속출했다.

의학 탐정 둘이 등장하여 사건을 해결하게 된 역사의 한 부분.
이야기로 재구성 되었다.
런던 마취 전문가겸 과학자인 존 스노 박사.
브로드 가 토박이로 삶의 방식을 깊이 연구한 헨리 화이트헤드 목사.
두 사람의 끝이없는 탐구와 연구로 콜레라의 발생을 알고 전염병이 더 확산되지 않게 막으려 했다.
날짜별로 발병되는 사실을 적은 보고서식의 글.
옆에서 보는 것처럼 긴장되고 불안해지는 마음.
걸리면 죽음으로 끝이나기에 원인을 찾기가 더 어려웠다.
#나이팅게일 의 공기중으로 감염될 수 있다는 글을 읽고
다시 추적하게 되었는데...
깨끗한 물을 공급받는 동네는 안전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한창 산업발달로 큰 도시로 모여든 사람들로 인해 도시는 어수선 했었다. 몰려오는 사람에 비해 수요할 수 없는 주거공간.
그로 인해 상하수도 관리도 안 되었고 쓰레기처리 또한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병이 생기는 원인.
병을 막는 방법.
그 옛날이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는 것 같다.

도시의 지도를 그리며 환자를 표시하고 동네를 확인하는 방법.
요즘 #코로나 로 인해 환자 동선을 확인하는 방법과 같았다.

특히나 공감되는 부분

P122
지구를 둘러싼 대기를 제외하면, 생명이 남긴 가장 큰 발자국은 도시이다. 한편 가장 작은 발자국은 미생물이다.시야를 좁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세상으로 진입하면, 우리는 생물학의 영역을 지나 화학의 영역으로 들어간다. 성장과 발달, 삶과 죽음ㅇ디 활동을 드러내는 생명체의 세상을 넘어 단순한 분자들의 세상으로 들어간다.가장 큰 생명과 가장 작은 생명이 그토록 긴밀하게 얽혀 있다는 것이야말로 세상 모든 생명이 연결되어 있음을 강력히 증명하는 것이다.


P282
위험 분야에서 21세기의 유행을 찾자면 화학무기나 생물학무기가 있다. 번식이라는 원초적 욕망에 따라 움직이며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을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다.


설마...
중국 우한에서 나온 바이러스...
중국은 꾸준히 바이러스를 연구하고 있는걸까?
싸스. 메르스. 코로나...
또 어떤 바이러스가 나올지 ...
세계가 함께 중국의 그 곳을 파헤쳐봐야하는건 아닌지 ...
왜 인간이 만든 바이러스로 느껴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