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도의 과학적 근거 - 숲으로 가는 길 ㅣ 로운 known 5
권형근 외 지음 / 지을 / 2024년 9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027/pimg_7469602184475635.jpg)
숲으로 가는 길, 임도의 과학적 근거_권형근 外 9명
‘임도 반댈세.’ 그렇다. 사실 나는 임도 반대 견해다. 그렇기에 이 책을 통해 주장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싶은 사람이었다. 전국에 발생하는 다양한 산불과 산사태로 산촌 사람들의 삶은 실종되고 심지어 생활의 터전을 잃었다. 그런데 아무리 좋은 말을 가져와도 찬성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일 년간 산불과 산사태 언론 기사와 논문들을 검색하여 관심이 많은 분야였다. 책에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는 사실 내가 알고 있는 상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부정적 견해에서 이 책을 접했기에 숲을 키우고 가꾸는 단계에서 숲을 이용하는 단계로 전환은 물릴 수 없는 현실이다. 또한 잘 가꾸었으니 잘 활용해야 하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과제는 많은 사람이 가진 부정적 생각과 문제들을 어떻게 감안하여 반영하는 일이다.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라, 현실을 바로 바라보고 현명하게 대처해야 하는 일이다. 임도의 장단점은 상존한다. 이제 남은 일은 단점을 최대한 보완해서 장점을 극대화하는 일이다. 최근 숲 체험을 통해 아름드리나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책에서 임도에 대한 문제와 부정적인 면을 스스로 열거했듯이 한없이 부정적으로 보면 무슨 일하겠는가? 모두를 위해, 현실적인 개발과 이용을 해야 한다면 안전하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기회로 임도를 주제로 논의가 활발해지고 반대에서 긍정적인 방향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
Ⓑ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대응, 산소 탄소 경영을 통한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임도의 중요성은 한층 부각되고 있다. 쇠퇴하는 노령림 대체, 국산 목재 이용과 탄소 흡수량 증진에 필요한 기반 시설로서 임도의 역할과 기능이 대두되었다. -P34
Ⓑ 임도는 산불 발생 초기, 발화 지점에 진화 인력과 차량을 신속하게 접근시켜 대형산불로 확대되기 전에 초동 및 야간 진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임도 시설이 자체적으로 방화선 역할을 하여 산불의 확산과 저지, 초기 대응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임도를 통해 산불 발생 감시 등의 예방 활동도 실시할 수 있다. -P43
Ⓑ 우리나라의 임도밀도는 2023년 기준 헥타르당 4.11m로서 세계 주요 임업국보다 낮은 상황이다. 목재생산을 위한 경제림에서는 임업기계를 이용하여 최소 200m 이내에서 작업하기 위해 최소 25.3m /ha의 임도망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4배) -P65
Ⓑ 재해에 강하고 친환경적 임도는 반드시 달성해야 할 임도 사업의 절대 목표다. (…) 숲을 가꾸고 경영하기 위해 적절한 임도망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지만, 임도로 인한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이 오늘날 임도가 직면한 당면과제 중 하나이다. -P226
Ⓑ 길이 없다면 갈 수 없다. 숲의 길이 되어 줄 임도는 숲을 숲답게 만들고 그 가치를 모두가 자유롭게 누리는 길을 열어 줄 것이다. 더불어 숲을 마음껏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언제나 숲으로 들어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점차 소멸하는 지역사회를 소생시킬 소중한 기회를 가져다줄 것이다. -P231
#숲으로가는길
#임도의과학적근거
#권형근외9명
#지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