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타리 - 정신병원의 속 이야기
임시욱 지음 / 보민출판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울타리_임시욱

 

정신병원을 주제로 한 장편소설에 이끌려 임시욱 작가의 소설을 만나게 되었다. 삼인칭 관찰자 시점의 소설이다. 나는 있지만 남자라고 표현하며 제삼자의 시선에서 이끌어가는 소설이다. 조금은 낯설지만, 심리와 세밀한 필체가 마음을 확대경으로 해부하는 백미를 지닌 장편소설이다. 자칫 난해하며 난독에 빠져 무안한 인내심을 요구하기도 한다.

임시욱 작가가 시인의 문체로 제삼자의 관점에서 내밀하고 치밀하게 써 내려간 장편소설이다. 다소 어지럽고 복잡하며 수렁에 빠져드는 느낌이 든다. 시적 감각과 표현이 혼재되어 있다. 그런데도 하나하나 뜯어보고 해부하며 감정의 기복을 느껴보는 재미가 있다.

일반 소설을 읽듯이 소설을 대하면 당혹스럽고 당황할 수 있다. 그러나 문체에 묻어나는 심리적인 충돌과 내면의 소리를 집중하면 독특한 매력에 빠져들고 만다. 처음 100페이지 고비를 넘어 속도감 있게 새로운 소설의 형태와 진면을 보여주는 장편소설이다.

같은 톤의 목소리와 서술법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지기에 작가의 필법에 놀랐다.

참으로 신선한 소설이었다. 내면에 고뇌를 엿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남자는 고향을 떠나 살고 싶다는 소망을 지니게도 됐다. 어디라도 상관없이 그저 아는 사람만 없으면 됐다. 집이 팔리지 않아 실행으로 옮기지는 못했다. 솔직히 두려움을 갖기도 했다. 어쨌든 맘은 늘 타향을 동경했다. -P22

 

다치지 않은 걸 다행으로 알았다. 처지를 말하지 않았으나 포기하기에는 부족되지 않았다. 보내기 싫다며 아쉬워했다. 다시 나오라고도 했다. 대답은 했다. () 엎어지게 만들고 잦혀지게 해야 한다는 충고도 받았다. 체질이 아니라고도 했다. 훈수를 들으며 이어왔어도 성과는 내지 못했다. -P29

 

아침부터 책을 읽다 서쪽 햇빛을 받을 때의 느낌과도 다르지 않았다. 남자는 친구에게 빌린 삼국지가 좋아 고픈 줄도 몰랐다. 오줌만을 누고는 들어가기도 했다. -P78

 

희경이는 육 개월을 채우지 않고 딸과 같이 돌아왔다. 다른 이는 오지 못했다. 알려 하지도 않았다. 어서 오라고만 했을 뿐이다. 물론 기다렸다고도 했다. 버리지 않은 편지를 보면서도 그 맘을 헤아려보기도 했다. 고맙다는 인사도 했다. 유골은 바다에 뿌렸다. 딸은 엄마의 뜻에 따라 떠나지 않았다. -P349

 

 


 

 

 

#울타리

#임시욱

#장편소설

#보민출판사

#정신병원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