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소설가의 일_김연수

 

책을 한꺼번에 다 읽을 수 없으니 사진을 찍어 두었다가 꼭 읽는 편이다. 이 책도 그러하다. 사실 소설가가 꿈이니 꼭 읽어 보겠노라 다짐을 했었다. 그런데 조금은 지루했다. 아니다. 내 마음이 지금 복잡한 탓일까? 그거 맞겠지. 꼭 시간이 흐른 뒤에 다시 읽고 싶다. 김연수 작가가 생각하는 소설가의 일이란 무엇일까 궁금해서 책을 펴들었는데 복잡한 일이 생겨서 그런지 난독증이 발병했다. 아쉽다. 그런데도 꿋꿋이 글자를 읽어 내려갔다.

 

P24. 1932년 자신의 첫 소설인 복회귀선을 쓰면서 헨리 밀러가 창안한 11계명이다.

1. 한 번에 하나씩 일해서 끝까지 쓰라.

2. 새 소설을 구성하거나 검은 봄(두 번째 소설)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지 마라.

3. 안달복달하지 마라. 지금 손에 잡은 게 무엇이든 침착하게, 기쁘게, 저돌적으로 일하라.

4. 기분에 좌우되지 말고 계획에 따라서 작업하라. 정해진 시간이 되면 그만 써라!

5. 새로 뭘 만들지 못할 때도 일은 할 수 있다.

6. 새 비료를 뿌리기보다는 매일 조금씩 땅을 다져라.

7. 늘 인간답게! 사람들을 만나고, 이런저런 곳에 다니고. 내킨다면 술도 마셔라.

8. 짐수레 말이 되지 말라! 일할 때는 오직 즐거움만이 느껴져야 한다.

9. 그러고 싶다면 계획에 따르지 않아도 좋다. 하지만 다시 계획으로 돌아와야 한다. 몰입하라. 점점 좁혀라. 거부하라.

10. 쓰고 싶은 책들을 잊어라. 지금 쓰고 있는 책만을 생각하라.

11. 언제나 제일 먼저 할 일은 글을 쓰는 일.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듣고 친구를 만나고 영화를 보는 등. 다른 모든 일은 그다음에.

 

P54. 지금 초고를 쓰기 위해 책상에 앉은 소설가에게 필요한 말은 더 많은 실패를 경험하자는 것이다.

 

P71. 주인공을 만드는 방법을 이렇게 말한다.

1. 평범하지 않고 비범한 사람으로 묘사한다.

2. 그 사람이 누구인지 설명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3.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에게 관심을 갖도록 만든다.

4. 다른 사람들보다 그 사람을 더 자주 등장시킨다.

5. 그 사람이 사건의 핵심에 더 들어갈 수 있게 한다.

6. 그 사람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자주 들려준다.

 

P74. 소설가는 제일 먼저 쓴다’. 그다음에 생각한다’. 그리고 다시 쓴다’.소설가란 어떤 사람들인가? 초고를 앞에 놓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자기가 쓴 것을 조금 더 좋게 고치기가 바로 소설가의 주된 일이다.

 

P104. 내가 쓰는 소설의 주인공이 행동한다-좌절한다-곰곰이 생각한다-다시 행동한다를 반복하면서 점점 절정을 향해 나아간다면, 소설을 쓰는 나 역시 쓴다-좌절한다-곰곰이 생각한다-다시 쓴다를 반복하면서 점점 소설 쓰기의 절정으로 올라가야만 하리라.

 

P144. 작가에게 중요한 건 오직 쓴다는 동사일 뿐이다. 잘 못 쓴다고 하더라도 쓰는 한 그는 소설가입니다.

 

P200. 쓴다. 토가 나와도 계속 쓴다.

 

P232. 먼저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고 자기 바깥의 삶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된다. (중략)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은 흥미롭고, 미처 몰랐던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은 뜻밖의 기쁨이다. 날마다 이 재미를 위해 시간을 내는 것, 그게 바로 소설가의 일이다.

 

 

 

 

#소설가의일

#김연수

#문학동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