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꽃 별이 되다
곡효여.김성중 지음 / 좋은땅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개꽃 별이 되다_곡효여

 

고향이라는 의미. 결론적으로 내가 살고 정착한 곳이면 고향이 아닐까 생각한다. 내게도 사촌 제수씨가 베트남인이다. 간혹 만나면 잘 따르고 특히 아내를 좋아한다. 저자의 책을 만나며 과연 상대의 눈에 우리가 어떻게 비쳤을까? 사실 타국에서 정착한다는 것이 절대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그들을 가족으로 맞이하고 함께 살고 있다. 책 속에 저자의 고단함과 진솔함이 묻어나 슬펐다가 한편 행복했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이 아닌 국제결혼 가정, 국제가족 등으로 인식을 전환하고 명칭도 바꾸는 것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우리가 편하다고, 우리 입장에서 정하는 것이 아닌 상대를 배려하고 상대 관점에서 명칭 하나부터 신중히 고려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지금도 씩씩한 사촌 제수씨를 생각하며 또 다른 시각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P67. 나의 시어머니도 자주 말씀하시는데, 나는 늘 존댓말을 하지 않는다. 시어머니가 나를 탓하는 문제가 아니라, 나의 한국어가 아직 부족하다는 뜻이다. 시어머니는 중국어를 모르기 때문에 내가 왜 대화할 때 존댓말과 반말을 함께 쓰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P72. 한 가정은 작은 사회다. 이 작은 울타리 안에서는 이기고 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믿고 이해하고 도와주고 지지하고 격려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나라, 다른 환경에서 자라왔기 때문이다.

 

P129. 한국의 명절 차례 문화는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을 잘 보여 준다. (중략) 중국에서는 여자가 하늘의 반을 맡을 수 있다.’ 한다.

 

P187. 한국 사람이 중국을 언급할 때, 머릿속에 반드시 떠오르는 문구가 있다. 큰 소리로 얘기한다. 교통신호를 지키지 않는다, 짝퉁, 중국산, 더럽다 등등. (중략) 국제결혼은 서로 다른 나라의 두 사람이 한 공간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국제결혼 부부 사이에 이런 인식에 문제가 생기면 갈등이 이어져 가정에 위기가 올 수 있다. 따라서 상대국의 문화를 존중하고, 그 불완전함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P191. 실제로 다문화가 가능할까? 국제결혼 가족이 많아지면서 한국인보다 낮고 한국과 격이 맞지 않으며, 한국의 발목을 잡는다는 낙인이 찍히고 있는 것은 아닌가?

 

 

 

 

#안개꽃별이되다

#곡효여

#김성중

#좋은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