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의 초점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양억관 옮김 / 이상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사회파추리소설!

작년말 사회파추리소설에 매료된적이 있었다.

그작품은 책에서도 잠깐 언급이된 미야베 미유키님의 모방범이라는 작품이었다.

그때 읽었을땐 사회파추리소설 이란 말을 알지도 못했었지만 제로의 초점을 손에쥐게 되면서 이책의 것장면에

적힌 사회파 추리소설이 어떤 추리소설인가 하는 설명글을 읽고서야 아.. 내가 작년에 읽었던

모방범이 사회파 추리소설이었구나 ... 하는 깨우침을 얻었다.

사회파 추리소설이라고 하는것을 한번더 설명하자면 어려운 사건이 생기고 , 이후 탐정이나 형사가 등장해

사건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형식을 취한다. 사건의 어려운 트릭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인물 설정이나 배경이 작위적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흥미진진한 반면 현실감은 떨어지게 마련이다.

하지만 사회파 추리소설은 미스터리에서 사건을 해결하거나 트릭을 푸는 것만큼 사회적 배경과 동기를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인물의 일상에서 언제든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을 소재로 삼게되는게

사회파추리소설의 특징이라고 할수있다.

 

먼저 읽었던 사회파추리소설 모방범에서는 초반부에 범인들이 밝혀지지만 케릭터들간의

갈등구조와 어떻게 범인과 이를 쫓고있는 인물들이 조우하게 되는과정을 숨죽여 가며 일게 만드는 굉장한

매력을 지닌 책이었다.

 

하지만 제로의 초점에선 범인이 누구인지는 책장을 마지막 까지 넘겨야 하는 기본적인 추리소설의

구정을 취한다.

 

제로의 초점은 실종된 남편 우하라 겐이치의 부인인 이타네 데이코의 시선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된다.

요즘 추리소설이나 미스테리소설등을 보면 여러시점으로 나뉘어져 책이 진행되어 나가다가

어느지점에서 그 시선들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전율을 느끼게 하는 구성이 많지만 꽤 예전 작품이라 그런지

기본적인 추리소설 구조를 지닌듯 하다.

 

됴쿄에 살고 있는 여성이 생화한 북국지방에서 실종된 남편의 이야기를 어려운 문구나 허구성 짖은 장치없이

내가 만약 실종된 나의 가족을 찾아나선다면 그랬을듯한 행동패턴과 마주치게될 상황들을

소설에 배치 시켜놓음으로서 마치 실제 실종사건을 소설화 하지 않았을까 하는 느낌을 받게 만드는 작품이다.

 

그당시 히로시마 원폭으로 일본이 패망한뒤 일본사회의 모습들이 어떠했던가와 함께

범죄에 있어서 그 죄를 지은 범인이 저지른 죄의 무게를 어떤척도로 놓고 판단해야 옳은 것일까 ...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던 작품이었다.

 

이책을 읽고나니 예전엔 그토록 좋아했었던 장르였지만 한동안은 접하지 않았던 추리소설을 또 찾아 읽고

싶어졌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니람다 2011-12-23 1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