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마켓 트렌드 2014 -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신흥시장의 진출 전략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엮음 / 청림출판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이 되면 내년 경제에 대한 예측과 전망을 예상하는 책들이 많이 출간된다.

이 책도 역시 내년 세계시장에 관한 예측서로써 각국의 시장 분석과 그에 맞는 우리나라의 투자전략등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책들과 달리 이 책이 가진 몇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집필진이다.

이 책의 집필진은 KOTRA. 즉 대한무역투자 진흥공사 로써 우리나라의 무역진흥과 외국인 투자 유치 및 한국 기업의 해외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정부투자기관이로써,전 세계 83개국 121개 무역관에 파견된 수백 명의 주재원은 현지 정부기관,관련전문가,기업인들과 접촉해 얻은 정보를 토대로 가장 먼저 뜨는 시장을 감별하고 있다. 

지금 이시간에도 지구촌 곳곳의 현장 정보를 수집하며 글로벌 경쟁에 임하는 한국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해외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책보다도 현장감 있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자료가 많이 담겨져 있다고 볼수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특징은 이 책에서 분석하고 있는 국가들이다.

그동안 세계 경제를 이끌었던 경제 강대국인 미국,유럽,중국,일본등은 경제 침체로 과거에 누렸던 경제 성장세는 다소 주춤한 반면 브라질,러시아,인도등 각 대륙별 신흥국들이 새롭게 세계경제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대외무역 의존도가 큰 나라로써는 앞으로 성장세에 있는 국가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그에 맞는 투자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책에는 신흥강대국들 중에서 인도,베트남,사우디아라비아,인도네시아,멕시코,폴란드,브라질,남아프리카공화국,터키,러시아,필리핀 등 11개국의 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 나라 기업들의 수출 및 투자전략등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위에서 말하는 국가들이 세계 경제에서 유망국가로 발돋음 할수 있었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인상깊게 봤던 부분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은 주 소비계층인 중산층과 앞으로의 소비계층이 될 젊은 세대의 인구비율이 크다는 점이었다.

11개국 모두 현재도 인구비율 중에서 젊은 세대의 비중이 크고 앞으로도 계속 인구수가 계속 증가하는 만큼 자체 소비가 가능한 강한 내수시장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의 우리나라 상황과는 너무도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물론 우리나라는 과거에 폭발적인 경제 발전을 이루어낸 국가라 위에 국가들과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그러나 세계 어느 국가와 비교해도 빠른 인구 노령화가 진행되고 출산율이 떨어지는 현재 상황을 그냥 내버려만 두기엔 심각한 문제인거 같다.

국가 경쟁력은 그들의 가진 기술력도 중요하지만 튼튼한 내수시장이 뒷받침 되어 있을때 더 큰 효과가 나타날수 있다고 생각한다.

책을 통해 각 신흥경제국의 앞으로 발전 가능성과 성장범위를 알 수 있었고 동시에 우리나라가 지금의 경제 침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무엇이 우선되어야 하는지도 알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