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처럼 읽어라 - 스스로 묻고 답하는 책 읽기
오준호 지음 / 미지북스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란 것은 나에게 아직은 습관화 되었다기보다는 이제 조금씩 흥미를 느끼기 시작한 책읽기 초보 단계에 있다.

그 중요성도 알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에 대해서도 조금 배웠기 때문에 이제 실천만 하면 되는데...그게 쉽지가 않다.

단순히 한달에 많은 양의 책을 읽지 못해서 생기는 고민보다는 나에게 필요한 책을 알맞게 선택하고, 책을 읽고 난 후 책속에

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핵심이 무엇인지 제대로 파악하는데서 오는 어려움이 더 큰거 같다.

책을 읽다보면 가끔씩 전체적인 맥락보다는 글자 하나, 문장 하나에만 집중하고 그것만을 읽고 있는 나를 발견할때가 종종 있었

다. 하지만 이번에 읽은 책을 통해서 최근에 고민이 빠졌었던 것들이 다행히도 많이 해결이 되었다.

책 때문에 고민을 얻고 또 책을 통해서 그 고민을 해결하다니...과거의 내 모습은 아닌듯하다...ㅋㅋ

 

제목에서도 나왔듯이 과연 소크라테스 처럼 책을 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처음부터 궁금했다.

저자가 말하는 올바른 독서법은 수동적이지 않은 능동적인 독서.비판적 사고.바로 질문을 통한 책읽기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고

있다. 어릴때부터(지금 세대는 어떤지 모르겠지만)과거 나의 경우엔 기존 교육시스템하에서 질문이란 왠지 내키지 않고 하기

싫은 것이었다. 하지 말아야 하는 것같은 대상이었다.

이런 교육환경에서 자라온 사람들이 사회에 나왔다고 해서 크게 달라질것은 없다. 궁금하거나 의문스러운 것도 그냥 넘어가버리

가만히 듣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 되었기 때문이다.

의문을 가지고 질문을 한다는 것은 그만큼 그 대상에 대해서 관심과 흥미를 가졌다는 뜻이다.

저자는 독서를 하는데 있어서도 단순히 책의 내용만을 따라가고 이해하면서 맹목적인 받아들임의 독서보다는 책속에서 말하는

주제와 근거들에 대해서 한번 의문을 가져보고 또 비판적으로 질문을 할수 있는 그런 질문의 독서법을 강조하고 있다.

눈으로 책을 읽지만 잠들어 있는 독서가 아닌 깨어있는 독서를 말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드는 부분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는 중요한 것은 현실을 외면한채 오로지 책이란 수단을 통해서만 인생을 살아가는 답을 찾기 보다는 독서를

바탕으로 쌓은 지식을 현실에 접목시키고 또 거기서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은 더 넓고 깊은 독서를 통해서 배우는 현실과 책이

께 할 수 있는 독서법이 바로 그것이다,

 

진정한 독서는 우리가 좀 더 나은 삶을 살고 더 발전된 사람이 되기 위한 것이다.

단순히 지식과 상식만을 늘리려는 것은 그다지 좋은 독서가 아니다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이 책은 다른 독서법에 관한 책들처럼 효과적인 독서를 위해 다독,정독,완독,속독등 방법적인 것을 이야기 하기 보다는 정말 자신

에게 맞는 책과 방법을 가지고 진정 우리가 독서를 통해서 얻을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유행처럼 잠시 스쳐지나가듯 일회성 취미로써 접하는 독서보다는 평생을 책과 같이 할수 있는 독서를 위해서는 진정 책에서 얻고

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한거 같다.

앞으로 책읽기를 하는데 있어서 같은 시간을 투자해서 좀 더 많은 것을 얻어갈수 있는 가르침을 준 책을 읽은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