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쥐
박찬욱 외 지음 / 그책 / 2009년 4월
평점 :
박찬욱 감독의 신작이라는 타이틀만으로도 개봉하자마자 무수한 관심을 받았고, 배우 송강호와 김옥빈의 노출 연기로 다소 자극적인 화면들로 편집이 된 영화의 예고영상들 역시 화제의 대상이 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이 외에 영화 박쥐에 대한 정보는 한국 최초의 뱀파이어 소재 영화라는 것, 그것도 신부가 뱀파이어가 되어 친구 부인과 치정을 벌이고, 살인을 저지른다는 파격적인 스토리로 대략적인 것들이었다. 이 정보들을 가지고서 영화에서는 분명 보여주지 못했을 것들이 책에는 포함되어 있을 거라는 확신으로 책, <박쥐>를 펼쳤다.
책을 다 읽고 난 느낌은 그야말로 축축하고 눅눅하고, 뭔가 더러운 것을 보고, 온몸에 흠뻑 묻힌 기분이었다. 언젠가 대학전공 과목 시간 때 한 교수님이 박찬욱의 작품은 관객들에게 의도적으로 불쾌감을 안겨주기 위해 만들어진 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거라는 평을 하신 말씀이 기억이 난다. 영화 ‘올드보이’도 그랬고, ‘복수는 나의 것’, ‘친절한 금자씨’ 역시 그랬다. <박쥐> 또한 이 작품들 못지 않게 피로 물든 잔혹극, 욕망에 충실한 치정극으로, 불쾌한 기분을 지울 수 없는 작품이다.
책으로 쓰여진 <박쥐>는 박찬욱, 정서경, 최인 3명의 작가가 에밀졸라의 ‘테레즈 라켕’을 읽고 얻은 영감에서부터 시작된 이야기다. 하지만 이는 ‘영감’을 받았다는 것 뿐, 박찬욱이 작가 에밀졸라에게 송구스러운 마음을 가질만큼 그와 관련성은 미미하다.
작품 속 남자주인공 ‘상현’은 비밀리에 진행된 백신개발 실험에 마루타로 참여한다. 그 와중에 바이러스 감염으로 죽을 위기에 처하지만 정체불명의 피를 수혈받아 살아나지만, 뱀파이어가 된다. 피를 마시지 않으면 온 몸에 수포가 번지고 햇빛을 보면 타들어가는 상현은 피를 구하기 위해 원치않는 살인을 해야만 하게 된 것이다.
흡혈귀가 된 상현은 어린시절 친구 강우의 아내이자 누이이기도 한 아내 태주에게서 피의 냄새로부터 시작된 끌림과 동시에 억누를 수 없는 성적욕망이 일어나고, 늘 남편이자 오빠인 강우에게 불만족스럽던 태주는 상현에게서 성적 만족감을 느끼게 되어 상현과 태주는 끊임없이 섹스를 나눈다. 상현은 신부라는 굴레를 벗어던져버리고 끊임없이 태주의 몸을 탐하고 태주를 자신이 구원해주리라는 마음까지 먹게 된다. 태주는 상현의 초인적인 능력을 이용해 강우를 죽이자는 제안을 하고... 강우를 살해하게 된 상현과 태주는 피가 필요하다는 핑계로 말미암아 연쇄적인 살인을 저지른다. 작품의 끝부분에서는 상현과 태주 모두 삶을 포기하고 떠오르는 태양 앞에서 온 몸이 타들어가 죽음에 이르게 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박찬욱의 이번 작품 역시 내가 이해하기엔 다소 난해하고,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지 모호하기 짝이 없을 뿐 아니라 불쾌함에 치를 떨어야 했다. 문화·예술이란 분명 인간의 기쁨, 슬픔, 분노 등은 물론 모든 인간의 감정을 다루어야 한다. 이에 박찬욱은 인간의 ‘불쾌감’조성에 있어서는 어떻게 이야기를 꾸리고 플롯을 짜고, 화면의 색을 채워야 하는지를 분명히 아는 천재적인 감독임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