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 불빛의 서점 - 서점에서 인생의 모든 것을 배운 한 남자의 이야기
루이스 버즈비 지음, 정신아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눈에 보고 반하는 사랑을 믿지 않는 나는, 그 유명한 로미오와 줄리엣의 러브스토리도 한낱 머리에 피도 안마른 것들의 뭘 잘 알지도 못하는 감정놀음 이야기에 불과할 정도였건만... 나는 이 책표지를 본 그 순간, 첫눈에 반하고 말았다. 세상에 !! 한 손에 딱 움켜잡는 손맛을 느낄 수 있는 앙증맞은 크기하며, 책장을 그대로 뽑은 듯한 책 표지는 마음에 드는 책을 몇권을 꺼내 든 것 같은 포만감을 선사한다. 세로로, 그것도 아래서부터 읽어야 하는 까만 글씨의 책제목 디자인 역시 아주 마음에 들었다. 책 표지를 넘기니 형광색의 노란 빛 가득한 속지 한장이 툭 튀어나오는 것이 얼마나 자극적으로 나를 유혹해대던지... 정신을 잃을 뻔 했다. 책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아마 이 책의 제목, <노란 불빛의 서점>이란 어구만 듣고도 확 구미가 당기는 책일 것이다. 그리고 직접 이 책을 탐하여 사랑을 나눠본 나로서, 적극 추천하는 바이다.  

서점에서의 추억... 나는 초등학교 4학년 무렵에서부터 시작된다. 몸이 불편해 휠체어를 타야했던 나는 자연히 집에 있는 시간들이 많았고, 덕분에 일찍이 책읽는 즐거움에 눈을 떴다. 고작해야 특수학교를 다니며, 어른들이 사다주는 몇권의 책들이 전부였던 내가, 일반 초등학교로 전학을 가고, 거기서 만난 비장애인 친구의 도움으로 함께 동네 도서관에 들어갔을 때의 희열은 정말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책장과 책장 사이에 들어서서 눈을 이리 돌려도 저리 돌려도 온통 책들이었던 그 순간은 정말이지 나에게 판타지와 같은 세상이었다. 하지만 그 즐거움마저도 오래가지 못했다. 왜냐하면 도서관의 자료실이 2층에 있었는데, 휠체어가 올라갈수 있는 엘리베이터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처음 몇번은 나처럼 책을 좋아하는 친한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에 탄 채로 계단을 오르내렸지만, 초등학교 4학년생의 힘이 세봤자 얼마나 셌겠는가. 친구들이 지쳐가는 모습을 눈으로 본 나는, 더이상 도서관에 같이 가자는 말을 꺼낼 수가 없었다. 그렇게, 다시 나의 책읽기 인생의 암흑기가 찾아왔다. 그러다 다시 신세계를 발견했다. 그 신세계가 바로 '서점'이었다. 엄마의 차를 타고 왔다갔다 하며 많이 지나쳐갔던 서점이란 건물. 그곳이 책을 파는 곳이라 책이 많다는 사실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어린 마음에 책을 파는 서점에 들어가면 반드시 원하는 책을 미리 정하고 난 뒤, 서점, 즉 가게 들어가서 주문하고 주인이 책을 건네주면 그것을 받아들고 금방 나와야 되는 시스템으로 생각을 했었다. 옷가게에서 하릴없이 구경만 하고 돌아다니면 눈치주는 주인처럼, 서점에서 책들을 보고 있으면 금방이라도 주인 아줌마가 내쫓는 곳인 줄 알았던 것이다. 서점은 그런 곳이 아니었고, 몇시간이고 죽을 치고 앉아 책을 읽다가도 그냥 나와도 되는, 양심에 찔릴 것 같으면 가장 마음에 드는 책 한 권 골라잡아 사서 나오면 그뿐인, 그런 곳이었다. 이 사실은 내게 도서관이란 존재를 알게 해주었던 그 친구가 역시 알려주었다. 나를 도서관에 더이상 데려갈 수 없게 되자 미안한 마음에 다시 서점으로 나를 인도했던 것이다. 그 후로 주말이면 주말마다 아침부터 일찍 일어나 동네 시장 근처에 있었던 '새싹서점'에 들어가 한나절을 죽치고 앉아 책들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만으로 행복에 겨워 허허실실 웃었던 기억이 있다. 요즘은 할일도 많아지고, 어릴때만큼 부지런하지가 못해 서점에 그렇게 눌러앉아 있어본게 언제였나 싶을 정도로 오래된 일이지만 말이다. 

이 책은 이렇게 각자 개인의 독서취향과 독서 인생의 이력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마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책이라는 존재가 언제부터 어떻게 탄생하고 오늘날까지 전해져왔는지도 아주 상세히, 비교적 지루하지 않게 설명하고 있다. 노란불빛의 서점에서 나오는 그 순간, 당신은 신발을 신고 있을 지도 모른다. 당장 가까운 서점으로 달려가 책장 아래 주저앉지 않고는 못 배길테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