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이팅 클럽
강영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라이팅(writing) 클럽’. 두 단어의 조합만으로도 가슴이 뛰는 이유는, 내가 바로 그 글쓰는 일을 지망하고 갈망하는 사람이기 때문일 것이다. 초등학교 시절, 책읽기를 좋아하던 나는 별 생각없이 끄적거린 글이 글짓기상을 타면서 ‘아, 내게 글솜씨가 있구나’ 깨닫게 됐고, 그 후부터 본격적으로 글이란 것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클럽활동을 정할 때는 문예부에 들게 됐다.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를 졸업하기까지, 글짓기, 시, 소설 등 장르는 다르지만 글을 쓰는 일은 똑같은 동아리에서 활동했다. 거기서 끝이 아니었다. 대학 진학도 국문과와 문예창작과를 이중전공하여 수학했다. 그렇게 이십년이 넘는 세월을 글을 쓰며 자라왔다. 그러면서 막연히 작가가 되겠다고 꿈을 가졌다. 그 글이 시든 소설이든 그 무엇이든 상관없었다. 구체적으로 어떤 글을 써야겠다고, 즉 드라마작가가 되겠다고 결정한 건 대학생 때였던 것 같다. 학과 공부를 마치고 본격적인 드라마작가 지망생으로서 고단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지금, 소설 ‘라이팅 클럽’ 속 주인공은 곧 나의 이야기와 같았다. 완벽히 감정이입이 되어 읽은 책이다.
소설 속 주인공은 영인이란 여자로, 작가 지망생으로 수십 년째 별 볼일없는 인생을 살아오고 있는 싱글맘을 엄마로 두었다. 계동이란 동네에서 글짓기교실을 열어 초등학생들의 받아쓰기와 간단한 글짓기를 가르쳐주는 일을 하는 영인의 엄마는, 김작가로 통한다. 엄밀히 말하면 아직 데뷔도 안 한 작가지망생에 불과하지만 문예잡지에 실린 에세이 한 편으로 마치 잡지 한권을 다 쓴 것처럼 명함과 포스터를 파서 돌리는 통에 사람들은 그녀를 자연스레 김작가로 부른다. 그런 그녀를 보며 자라는 영인 역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글쓰는 행위에 대해 흥미를 느낀다. 아니, 어쩌면 밥을 먹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어버렸다.
특히 영인은 나와 닮은 구석이 많아 피식피식 웃음이 나는 캐릭터였는데, 연애 한번 못해본 영인은 마음에 드는 남자에겐 그 누구가 됐건 과감하게 다가가 대쉬를 하고, 곧바로 거절을 당하고 돌아와 마음을 접고 또다른 상대를 찾는, 다소 4차원인 여자다. 남자에게 오죽 많이 차여봤으면 같은 여자가 짝인가 싶어 같은 반의 날라리 여고생에게 대쉬를 하기도 한다. 이 일을 계기로 거칠게 욕을 하면서도 친구가 된 부잣집 딸 R. 영인에게 직접 다가와 사귀자고 하는 여자친구도 있다. (이 여자친구와는 키스까지 한다.) 이 모든 인물들이 고교시절 한번쯤 봐왔던, 상상해봤던 캐릭터들이라 친근한 느낌이었다.
이 친구들과 우정을 쌓으며 틈이 나는대로, 정확히 말하면 글을 쓰고 싶은 욕망이 들때마다 영인은 소설을 쓴다. 그리고 그 소설을 엄마 김작가가 아닌 동네 카페에서 글을 쓰는, 비교적 유명한 작가인 J에게 들고 가 보여준다. 다음날 빨간줄, 즉 고칠 것 투성인 소설을 돌려받고 묘사하라고, 거기다 자신의 생각을 조금씩 넣어 글을 쓰면 좀 더 나아질거라는 충고를 받는다. 그렇게 소설 한 편, 두 편, 세 편을 쓰면서 영인의 글솜씨는 점점 나아진다. 그러는 와중에 먹고 살기 위한 취업을 하려고 영인은 무궁무진 애를 쓰지만 그녀를 받아주는 회사는 피라미드 회사가 전부다. 나 역시 뜻대로 풀리지 않는 작가 생활에 고달파 취업을 생각해본적이 있고, 소설 속 영인과 같이, 나의 꿈과 점점 멀어져가는 상황에 정신이 퍼뜩 들어 다시 글쓰기로 돌아온 적이 있기에 눈물이 핑 돌았다.
그렇게 김작가와 영인은 나이를 먹어가고 그 세월 속에 글은 항상 함께 한다. 그리고 김작가는 노년이 다되어서야 비로소 문예상을 수상하고 마침내 등단하여 진짜 ‘김작가’가 된다. 그리고 그 모습을 지켜보며 자신의 글을 써가는 영인이다. 소설의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영인의 모습이, 김작가의 모습이 내 모습인 것만 같아 속에서 왈칵 치솟는 무언가가 있었다. 나도 지금의 작가 지망생 신분이, 세상에 제대로 발표도 해보지 못하고 나만의 글을 써야하는 시간이 얼마나 많이 남았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으면서 한가지 느낀 것은 나도 영인과 김작가처럼 글쓰는 행위를 좋아하고 갈망하고 있다는 것. 이 사실은 나의 작가 생활을 지탱해줄 힘이 될 것이다. 글을 쓰는 사람에게 더없이 크게 와닿을 작품으로, 꼭 추천하고픈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