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5
조지 오웰 지음, 김기혁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나 리틀브라더의 영원한 형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4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5
조지 오웰 지음, 김기혁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맨처음에 읽은부분은 그거다.


이런적 많아요?
/백번은 될거예요. 아니, 적어도 20번은 넘죠.
(중략)
/난 당신이 많은 남자와 섹스했었다는게 좋아요. 더 많은 남자와 섹스했다면, 더 좋아요.

난 순결이 싫어요. 난 선량함이 싫어요. 난 착한거라는 전부 다 싫어요. 난 모든 사람이 뼈속까지 썩었으면 좋겠어요.
/그렇다면 난 완전 당신취향이겠네요. 난 정말이지 뼈속까지 썩은 여자예요.

윈스턴스미스가 줄리아와 섹스하기전에 주고받는말이다.
통제된 세상에 살면서 섹스는 온전히 낭만적이고 촌스러운 것이길 바랄것 같은데, 왜 저럴까?
저런취향(상대여자가 많은남자와 섹스했기를 바라는)은 위대한 개츠비씨한테나 어울리는 취향이 아닐까? 어째서 쪼다같은 느낌의 윈스턴이?

자기의 매력에 자신감이 없고, 자기가 그나마 지금 만나는 여자가 지금당장이라도 자기를 버리고 떠날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하는 남자는, 그 여자가 자신이 아닌 다른 어떤 남자와도 섹스한적이 없기를 바라는게 자연스럽다. 우리의 윈스턴 스미스씨는 뭘믿고 저러는 걸까?

 

윈스턴의 놀라운 상상력은
이를테면 리틀브라더의 남자주인공이 여주인과 섹스하는 담백함과는 거리가 멀다.
이런 상상력이 결국 윈스턴의 마지막선택과도 이어지지 않나싶다.

 

상상력...

'너 사람이 왜 비겁해지는지 알아?상상력이 있어서 그래, 생각을 하지마.'

비슷한 대사를 어떤 한국영화에서 본적이 있다. 아마 고문장면이었던것 같다.

 

1984에 비슷한 상황이 나온다.

그 유명한 10번 방관련 대사로.

'By itself,' he said, 'pain is not always enough. There are occasions when a human being will stand against pain, even to the point of death. But for everyone there is somehing unendurable'-후략.

 

오브라이언은 윈스턴의 공포를 이용해서, 윈스턴을 굴복시킨다,

그러데 공포와 고통은 어디서, 어떻게 다른걸까? 공포와고통을 자로 재서 구분하는것은 어렵지않나?

공포는 고통보다 학습하기 어렵다. 고통은 즉각적이고 자명한데, 공포는 그럭저럭 뇌를 굴려야 습득할수 있다. 10번방은 고통이 아니라 공포고, 이런 공포는 현대인들에게 더 잘먹힌다.

 

오브라이언이 공포가 아니라 그냥 평범한 고통을 주었다면, 윈스턴은 버틸수 있었을까?

그것도 불가능할 거다. 고립된 개인은 약하다.

 

101번방이 나오기 좀전의 272페이지를 보면

 

'Do you believe in God, Winston?'

'no.'

'Then what is it, this princeple that will defeat us?'

'I don't know. the spirit of Man.'

'and do you consider yourself a man?'

'Yes.'

'If you are a man, winston, you are the last man. Your kund is extince;(후략)'

 

개인으로서 윈스턴이 패배하는건 당연한거고, 패배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게 예외적인거다.

 아쉽지만 이게현실인걸 어쩌나.

 

현대사회에서 꾸준히 살아온 인간은 '어떻게 세상을 볼지, 어떻게 다른 사람과 어울릴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해야 하는지등등을' 꾸준히 배우게 된다.

그리고 사회와 맞서는 개인은 이기는게 사실상 불가능하고, 1984같은 이야기에서 그리스비극의 주인공같은 주인공들이 필요하지 않은게 그런 이유다.

개개인은 약하고 보잘것없고, 세상과 싸우면 쓰러진다.

우리는 세상과 맞서면 쓰러진다는 끈으로 연대한다.

그게 다다. 물리적으로는.

 

그 끈이 아닌 믿음이니 동료애니 같은 단어가 끈이 되길 바라는게 지금의 사람들이다.

한때 , 그리고 지금도 먹히는 짤방중 하나가.

'너, 내 동료가 되라.'

다. 동료는 고사하고 친구도 구하기 힘드니까, '친구가 되어줄래?'라는 말한마디 건네는것도 부끄럽고 머쓱하니까, 저런 말이 아무런 앞뒤맥락없이 편하게 짤방으로 쓰인다.

다른 사람의 경우는 몰라도, 나는 '너, 네 동료가 되라.'라는 대사를 중2중2하다고 비웃으면서도, 멋있다고생각하게 된다. 지금의 한국이라서 더더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서의 괴로움
오카자키 다케시 지음, 정수윤 옮김 / 정은문고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ㅋㅋㅋ. 책 내용에 동감하는데.
뭐 당연한 이야기지만, 결국 이책도 내 방을 좁게 만드는데 한몫하는.
그냥 나보다 더한 사람들이 많다는 걸 보면서 위안을 얻기에는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서의 괴로움
오카자키 다케시 지음, 정수윤 옮김 / 정은문고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아직 읽기전이고 구매도 하기전인데.
설정이 너무 자극적이고 재밌다. 책을 못 버리는 인간이라니~~
나말고도 이런 인간이 많다니, 난 덕후가 아니야!라눈 확신을 줄것 같은 책^^!
(그치만 이걸 사면 내 방은 더 좁아지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덧니가 보고 싶어 tam, 난다의 탐나는 이야기 1
정세랑 지음 / 난다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 덧니가 보고 싶어 _ 정세랑+ 두번째 후기(12.29) 2011-12-11 07:31

Image and video hosting by TinyPic



 정세랑님의 글은 기본적으로 환타지로 보인다.

현실에서 두발자국 이상 높이 둥둥 떠있는 느낌의, 현실감각이 많지 않은 캐릭터가 툭툭 튀어나와서 

수상한 상황에 빠지고 이런저런 사고를 치고, 어쩌다 보니 문제를 해결한다.
그렇지만 이야기들은 어딘가에서 현실감을 찾는다. 

물속에서 하늘거리는 해파리의 피부같은 글이 어느 순간 아프리카의 바오밥 나무처럼 단단하게 바뀌어 있다.

(바오밥 나무가 실제로는 가볍고 부드러울지도 모르지만, 생긴건 좀 우직하게 생겼으니까..뭐...)

이렇게 이야기가 현실감을 찾는 지점이 싫기도 하지만, 재밌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난 환타지를 읽고 싶은 사람이라서, 현실감이 너무 또렷해지면 좀 부담스러워서 멀리하곤 한다.
그렇지만, 정세랑님의 이야기에서 툭툭 튀어나오는 현실감은 받아들일수 있고, 

그 캐릭터랑 같이 수다떨면서 술한잔 하고 싶은 기분이 든다.
이건 한편으론 정세랑님의 글이 가볍고 부드러운, 연애소설보다는 미드나 심슨가족에 가까운, 문체로

사람들 마음속의 보호벽에 빵꾸를 내고 있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글속의 인물들,혹은 언니들 오빠들]을 작가님이 사랑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곶감이 쥐약인 66사이즈 여자애의 이야기는 특히 그랬고, 난 그때부터 정세랑님의 글이 맘에 들었다.

정세랑님이 쓰다듬 쓰다듬 안아주고 만져주는 손길이 얼마나 많은 사람을 보듬어 줄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부담스럽지 않아서 좋다. 재밌기도 하고^^.
쓰다듬쓰다듬 당하는 독자입장에서는 참으로 고마운 손길^^~

조금은 슬픈 일인지도 모르지만, 정세랑님의 글을 사람으로 친다면

2. 죽기전에 반드시 만나서 마지막을 함께 하고 싶은 여자는 아니다. 

그렇다고 1.평생을 같이 하고 모든 일상을 공유하고픈 여자도 아니고. 

그냥 기분이 업되거나 다운 될때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툭 연락해서 만나고 싶은, 

공식적으로는 친구지만 긴장감은 있는 그런 여자같은 느낌. 

이게 도대체 1.에 가까운 건지, 2.에 가까운 건지는 모르겠지만. 난 이런 사람도 무척 좋아한다.

죽기 전에 '아 그런 애도 있었지.'하고 떠올리면서 미소짓게 만드는 이유가 되어줄 사람.


------------
마침내 덧니가 읽고 싶어로 들어가 보자면,

재화라는 작가는 용기라는 구남친을 자기의 글에 등장시키고, 

언제나 구남친을 가지고 만든 캐릭터는 글속에서 죽는다.

여기서 많은 액자속이야기가 나오고, 그 짧은 이야기들은 이야기 자체로 재밌기도 하고,

어떤 건 재화와 용기를 대놓고 말하기도 한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건 늑대의 숲에 팔을 두고 온 아이의 이야기였고, 가장 약했던 건 알파카 양이었다.

알파카 양이야기가 정말로 약했던 걸까?
아니면 알파카 양 이야기는 너무 착하고 순수하고, 대놓고 직접적이라서 내가 싫어한 걸까?

난 알파카 양이야기보다 더 꼬아놓은 이야기가, 더 잔인하거나 자극적이거나 지나치게 빠른 이야기를 원했다.

이게 내 취향일 뿐인지, 나라는 사람이 이런 사람인지 슬슬 헷갈린다.

이상하게 재화를 해치는 범인의 정체는 전혀 위화감이 없었다.

짧게 치고 빠지는 액자이야기들때문에 무슨 이야기든 들어줄수 있게 된 건 아닐테고, 아마도 '덧니'때문이 아닐까 싶다.

사람은 누구나 페티쉬 한두개정도는 있지 않을까? 덧니에 키스한다든지, 혹은 그 외에 자기가 좋아라하는 어딘가에 키스한다든지.
덧니때문에 사건을 저질렀다는 범인의 이야기는 다른 길고 자세한 설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간단하게 납득이 간다.

 


p.s.1 막연하게 작가분은 재화가 아니라 용기의 어린 여자친구와 더 비슷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건 내가 용기의 어린 여자친구같은 캐릭터를 더 좋아해서 그런 걸지도 모르지만.

p.s.2 예전에 재밌게 읽은 '모두에게 해피엔딩'이라는 이야기랑 비슷한 분위기가 났다.

이를테면 안데르센 동화랑 오스카와일드 동화랑 분위기가 비슷한 것처럼.


----------

두번째 후기_2011_12.29



결국 악당은 사라지지 않는다.


잡히지 않는다.


주인공 2명은 나름 행복하게 잘 진행될 분위기를 풍기면서 이야기는 끝나지만,


악당은 '다시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남기고 떠난 상태라서,

언제 악당이 다시 돌아와도 논리적으로 이상할 게 없다.


이런 건 악당의 등장과도 마찬가지다.

악당은 자연스럽게 주인공의 시간속으로 스며들어왔고, 

악당이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고 악당다운 행동을 주인공에게 완전히 드러낸 건 조금은 갑작스러운 일이었지만,

조금도 갚작스럽게 느껴지지 않는다. 무척 자연스럽다. 

악당이 주인공에게 슬금슬금 다가오기 전부터 이미 거기 있었던 것처럼. 

악당이 주인공을 만나서 주인공을 해치려고 노력하는게 이 이야기의 당연한 수순이었다는 것처럼.


라고하는 말은 악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다; 우리또한 악이다; 라고 읽으면 되겠지만(이게 모범적이고 일상적인 해석이겠지만.)

난 재화는 손이 섬세하고 조심스러운 남자와 연결되어 있다고 읽었다.

연결되고 싶어한 건 덩치가 큰 남자였겠지만.


문체를 조금만 바꾼다면, 재화가 섬세한 남자와 함께 영원의 시간을 같이 하는게

똑 떨어지는 결말일 테지만, 재화는 덩치 큰 남자를 택했다.


이건 해리포터가 기숙사배정에서 슬리더린이 아니라 그리핀도르를 원한다고 어거지를 쓴 걸 떠올리게 한다.


이런 어거지를 쓰는 건 참 중요하다. 이 어거지 하나때문에 다른 모든게 바뀌기도 하니까.

아마 재화와 덩치큰남자는 해피 에버 애프터 하지는 않을거다.

두 사람보다는 차라리 덩치큰 남자와 어린여자가, 혹은 재화와 섬세한 남자가 잘 어울린다.


그렇지만 재화가 선택한 건 덩치 큰 남자고, 덩치큰남자가 이것 저것 무릅쓰고 고른건 재화니까,

어쨌든 둘이 함께 하는 시간이 더 길어지고, 더 행복해 지길 바란.



살다보면 완전히 행복해지지도 않고, 완전히 불행해 지지도 않으니까.


그냥 그럭저럭 행복이 더 많은 것 같으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도 된 것처럼 크게 웃고,

슬픔이 조금 더 많은 것 같으면 시체 코스프레같은 거 하는 거다.

타이밍이랑 그때 그때의 기분이나 대략적인 상황이 낭만의 상당부분인지도 모른다.


'키스할때는 덧니위주로 하곤 했었다. 뭐가 그렇게 좋았던 거지.'


귀여움을 가장해서 섹시하게 쓴 저 문구로 많은 잠재독자님들의 마음을 홀린 세랑님은 무슨 말이 하고 싶었을까?

덧니는 섹시하고 귀엽다.

그리고 덧니는 덧니가 아닌 다른 이빨에 비해서 원칙적으로 문제가 있는, 혹은 [교정을 요하는]이빨이다.


이런 덧니가 작품의 제목이 될 정도록, 귀엽고 섹시한 매력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것도 꽤 재밌다.


딱 하나 지적할 게 있다면, 덧니가 보고싶어, 영원히 66사이즈, 모조지구혁명기에서

등장인물간의 대화가 긴장감을 잃어버리는 지점이 있다.


재화와 선이, 선이와 용기 (덧니가 보고 싶어)

나와 녹슨 칼을 가지고 다니는 조그만 것(영원히 66사이즈)

나와 천사(모조지구혁명기)


저 인물들 간의 대화는 긴장감이 없고, 재미가 덜하다. 난 처음엔 이게 선이의 캐릭터가 재미없는 캐릭터인가?싶었는데,

그렇게 말하면 나머지 2개의 단편이 설명이 안된다.


내 생각엔 세랑님은 자기 자신혹은 자기의 친구 혹은 자기의 마음속에서 만든 친한 친구를 모델로 한 캐릭터와,

그 캐릭터의 가장 친한 존재와의 대화에서는 긴장감이 없어지는 것 같다.


그 긴장감이 없어져서 약간 늘어지는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고, 그 부분의 재미가 덜해지는 것도 사실이지만,

작가분의 성격이 가장 묻어나는 부분이 저 긴장감이 떨어지는 대사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가장 친한, 믿을수 있는 사람과 대화할때 작가님이 저러시겠구나 싶은 생각이 들어서,

작품의 재미가 조금 희생되더라도 작가님이 저 말투를 실제로도 작품에서도 계속 이어가셨으면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더 정확히 말하면 저 부분을 긴장감있게 고치면, 작가님의 실제 생활에서의 캐릭터가 조금 변형될까봐,

저 부분을 고치지 않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분명히 작가와 글은 완전히 별개다.


그런데, 이렇게 글을 바꾸면 작가의 실재 생활에 변화가 있지 않을까?싶은 걱정이랄까 오지랖일까봐가

생겨서, 작가가 글을 (내 취향으로)바꾸지않고, 

작가 본인의 행복을 위해서 지금 그대로 남아 있어주기를 바란 적은 별로 없다.


이런 기분이 들게 만드는 글이라니, 어떤면으로는 대단하지 않나 싶다.


덧니가 보고 싶어는 어리광을 부리는 글이 아니지만, 난 나도 모르게 덧니가 보고 싶어를,

그리고 작가를 어리광을 부리는 어린이처럼 예뻐하고 보호하고 싶은 기분이 든다.


역시 작가분이 언니,오빠들을 위로하는데 멋지게 성공했다. 

적어도 난 확실히 위로받았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가볍게 손톱 하나하나에 입을 맞추었다. 어린 여자친구도 그 의미를 금새 깨닫고 더 크게 울기 시작했다. 
페이지 :페이지는 까먹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