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자의 편지 - 제2회 네오픽션상 수상작
유현산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2월
평점 :
살인자의 편지
1장 사건과 2장 암시까지.
범죄소설인데, 스포일러를 쓰면 곤란할 테니까, 앞부분만 리뷰.
전체적으로 딱딱한 애용이 있다. 말랑말랑 감수성 자극 일본소설이랑 다른느낌.
다만 결론이 조금 급작스럽고, 마지막의 파괴력이 예상보다 덜하다.
그렇지만 구매해서 읽고 서재에 둘만한 책이다.
참고로 심여사는 킬러라는 범죄소설도 재밌게 읽었는데, 이 책과는 느낌이 아주 많이 다르지만, 둘다 추천작.
아래는 살인자의 편지 리뷰. (1장과 2장만.)
--
1. 사건
살인사건이 발생한다.
그 사건이 일어난 지역에서 장사를 하는 관찰자의 눈에 비친 도시와,
소녀의 시체는 무척 딱딱하게 묘사되어 있다.
형사가 이 사건을 맡게 된다.
형사는 남부럽지 않게 팍팍한 삶을 살고 있다.
형사는 이 사건을 마지막으로 은퇴해야 겠다는 생각을 한다.
은퇴하겠다는 생각은 이미 하고 있었고,
마지막으로 이 사건을 꼭 해결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피살자인 소녀의 아는 오빠가 등장한다.
소녀의 원수를 갚겠다는 결심을 한다.
투박하고, 특별히 새롭지 않은 캐릭터로 보이지만, 역시 캐릭터의 힘이 있다.
진지하고 정직한 캐릭터가 풍기는 힘이.
문체가 딱딱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딱딱한 문체는 딱히 내 취향이 아니다.
그렇지만, 푹 빠져서 볼수밖에 없었다.
이야기자체가 가진 묵직한 힘이 있었고,
관련범죄사건에 관련해서 조사를 많이한 작가의노력이 뚝뚝 묻어났다.
2. 암시
여기서부터 이야기가 달라진다.
살인사건이 추가로 발견된다.
하지만 시체가 하나 더 늘었다고 해서 이야기가 달라져봤자 얼마나 달라지겠는가?
달라진건 형사와 기자캐릭터.
두 캐릭터를 묘사하는 문체는 1부에서 나오는 메인캐릭터를 묘사한 문체와 아주 다르다.
가볍고 빠른 문체는 내 맘에 들었고,
사건의 힘뿐만 아니라, 문체도 슬슬 맘에 들기 시작했다.
작가는 일부러인지 우연히 인지는 몰라도 캐릭터마다 문체를 다르게 표현했다.
이런 문체변화때문에 책은 3인칭 관찰자 시점이 아니라 1인칭 관찰자 시점인 것처럼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