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 워크 밀리언셀러 클럽 143
스티븐 킹 지음, 송경아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좋다. 초기작이라고 믿기 어려울만큼 깔끔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리틀 브라더
코리 닥터로우 지음, 최세진 옮김 / 아작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가 좋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틀 브라더
코리 닥터로우 지음, 최세진 옮김 / 아작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가 있는 세상이 좋아. 네가 더 많은 세상이 좋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틀 브라더
코리 닥터로우 지음, 최세진 옮김 / 아작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틀브라더 한글판에 많은 짧은평이 있습니다. 그 평을 참조하시면 될듯하고, 장르몇권 읽은 사람으로 써 봤어요.]

 

 

0.에반게리온이 90년대중반에 크게 히트쳤다.

그리고 그후에도 세카이계가 나온다.

가장 쉽게 설명하면 최종병기그녀가 해당된다.

개인의 일상이 개인을 둘러싼 세계가 일대일대응하다시피 하는 설정이다.

즉 개인이 죽으면 세상이 흔들리거나, 아예 세상이 멸망해 버린다.

개인=우주 라는 이상한 설정이 바탕에 깔리게 된다.

 

세카이계는 90년대 일본 라이트노벨과 만화 및 장르소설등에서 계속 나왔는데.

 

1. 세카이계의 세카이는 'the world'라는 뜻이다. 죠죠3부의 디오의 스탠드는 아니고, 그냥 우리가 사는 세상이다.

세카이계의 주인공은 일반인간이고, 기본적으로 슈퍼히어로가 아니다. 물론 이야기가 진행됨에 사실상의 초능력을 가지게 되는데, 

 

 

'어떤 암호,보안체계가 있다고해도, 그걸 만든 사람보다 더 머리좋은 사람에겐 깨질수 있기 때문에, 정마로 안전한 암호체계는 모든 사람에게 공개된 암호체계'라는 말은 다른 사람과 나와의 at필드(모두가 알겠지만 설명하자면, 에반게리리온에 나오는 에너지 방어막으로서, 개인과 개인사이의 경계선을 쳐서 나를 타인에게서 보호하려는 일체의 노력을 상징한다고 흔히 해석된다. 고슴도치가 가시세우는거 생각하면 될듯. )를 일부러, 적극적으로 깨야 한다는 말이다.

 

여기에서 이 이야기는 달라진다.

 

리틀브라더는 다른 종류의 책과 같다.

주인공이 힘들어하고 반항하고 하는데, 주인공의 고뇌가 비교적 다른 책에 비해서 짧다.

그리고 암호/보안체계에 관한 설명은 책의 거의시작부분에,주인공의 시련이 시작되기도 전에 나온다.

 

난 이게 우연이 아니라, 작가가 일부러 암호체계를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을 책의 맨앞에 (딱히 그 부분에 넣어야 할 필요도 없고,주인공이 첫번째 시련을 겪고 나서 자기컴퓨터가 도청된걸 알고 난 다음에 넣는게 더 자연스러울수도 있지만)넣은 이유가 있다고본다.

암호체계를 공개하는게 ,

똑똑한 '내'가 아니라, 실패할수도있고 100% 신뢰할수도 없는 애들을 믿을수밖에 없고, 믿어야 한다고 주장하는게 이책의 주제라고 본다.

 

그리고 극의 진행에서 섹스도 나오고(콘돔이 핑크색이었다면 더좋았겠지만), 해변가에서 술먹고 놀면서 키를공유하는 장면도 나오고(지금 돌이켜 보면 해커스라는 옛날영화가 생각난다. 애시드 번, 제로쿨,ㅋㅋㅋ)

 

2. 그리고 세카이계는 어찌보면 폐쇄적이고 자폐적인 히키코모리의 이야기다.

사실 90년대에 세카이계가 크게 히트친게 이런 이유라고 보는 사람도 많다.

세상이 어린애들에게 친절하지 않고, 앞으로의 시간이 지나온 시간들보다 나을거라는 희망(이를테면 베이징 올림픽즈음에 중국이 뜰거라는 중국애들의 희망같은)

 

그리고 한국이나 일본이나 앞으로 땅파고 들어갈일만 남았다는 생각을 사람들이공유하고 있었기에, 이런 이야기가 인기가 있었고, 많이 나왔다는 주장이다.

 

그리고 세카이계는 어찌보면 짜증나는 혼자만의 이야기다. 에바극장판 에어/진심을 너에게 에서 신지가 빨간머리 여자애를 목조르다 마는 장면을 보고 난 참 그지같은 기분이 들었다.

 

리틀브라더도 혼자만의 이야기같은 면이 있다. 이 책이 현실을 근거로 만든 책이지만, 2015년 의 한국인인 나에게는 여전히 현실감이 없어보인다는 점이 그렇다. 전경이 시위현장에서 필요이상의 물리력을 쓰고 티어개스같은걸 쓰는건, 한국에선 너무 일상화 되어있어서 굳이 언급하는게 무척 이상해 보이는 일이다.

 

한국에서 리틀브라더가 인기있는건 현실이 생각나기 때문이고, 그냥 그런게 엿같다.

 

 

0-0.우리는 절대 록으로부터 해방될순 없다.

멋지지 않나? 라즈레즈라는 만화1권에 나오는대사다. 그냥 그런 기분이 든다.

그리고 저 대사를 하는 순간 록으로루터 해방될수도 있다.

록이 록인지, 다른 무엇인지는 내 알바 아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