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 것처
럼 보입니다. 상실에 대한 두려움, 실패에
대한 두려움, 상처받는 것에 대한 두려
움…………. 하지만 궁극적으로 모든 두려움은 죽음과 소멸에 대한 에고의 두려움입니다.
에고의 한구석에는 언제나 죽음에 대한 두
려움이 숨어 있습니다. 마음을 자신과 동
일시하는 상태에서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이 삶의 구석구석에 영향을 미칩니다. -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적인 두려움은 구체적이고 즉각적
인 위험과는 구분됩니다. 그것은 불안, 근
심, 초조, 긴장, 공포, 증오 등의 모습으로
찾아옵니다. 이런 심리적인 두려움은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한 것이 아니라, 장
차 일어날지도 모를 일에 대한 것이기 십
상입니다. 우리는 지금 여기에 있으면서도
마음은 늘 미래에 가 있곤 합니다. 그래서
조바심이 생겨나는 겁니다. 자신을 마음과
동일시하여 ‘지금‘이 지닌 힘과 단순성을
잃어버리고 있는 한, 그러한 조바심은 절
친한 친구라도 되는 양 우리를 따라다닐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 대해서
는 언제나 대처할 수 있습니다. - P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몸의 변화를 알아차림으로써 나의 본 모습을 인식할 수 있다.

진정으로 당신 자신의 마음을 알고 싶나
요? 그러면 몸을 들여다보십시오. 몸은 항
상 마음을 충실하게 반영해서 보여줄 겁니
다. 몸 안에 일어나는 감정을 바라보거나
느껴 보십시오. 마음과 감정 사이에 갈등
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 마음이 거짓이
고 감정이 진실입니다. 당신의 감정 상태
가 당신이 진정 누구인지에 대한 궁극적인
진실은 아니지만 그 당시의 마음 상태에
대한 상대적인 진실인 것입니다. - P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금만 마음의 힘을 믿을수만 있다면 그 순간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을텐데

우리는 무엇이든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열병 같은 갈망에 휩싸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얻은 다음에야 비로소 그것이 실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지요.? - P1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애명상은 2500년의 역사를 가진 수행법이다. 반복적인 경구와 이미지와 감정들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과 다른 대상들을 향한 자애심과 친밀감을 불러일으키는 수련법이다. 이 명상법이 자신에게 유용한지 시험 삼아 해보기 바란다. 처음 시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하루두 번씩 15분이나 20분 정도 경구 반복

- P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