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영의 법칙이라는 것이 범주의 문제이다.세상을 하나도 겹치지않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상을 이해하는 기준이 된다.

평등이란 그냥 내버려두면 저절로 생기는 것일 뿐이다. 누가 만들면 오히려 평등이 깨진다. 자연의 뿌리는 평등이다. 그러므로 큰 것이 있으면 작은 것이 있기 마련이고, 뜨거운 것이 있으면 차가운 것이 있기 마련
이다. 밝은 것이 있으면 어두운 것이 있고, 여자가 있으면 남자가 있고, 부자가 있으면 가난한 사람이 있는 법이다.

- P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우리 삶을 볼때 행복하고 좋은 일만 생기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면 그다음은 어떻게 받아들일까이다. 바다는 태푸이나 바람과 비가 있기 마련이다. 그것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삶을 살아가는 방식이다.

배를 운행하고 있는 선장이 지금 생긴 문제에 어떤 힘을 이용하기를 바란다면 배, 물결, 바람, 그리고 운항 방향 등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생살이의 문제에도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언제나 태양이 맑고 바람이 향하는 방향에서 적절하게 불어오지 않는 것처럼 어떤 종류의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어떻게 하면 자신의 주도하에 이를 대처해 나갈 수 있는가 하는 방법을 습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어떤 사람도 기상변화를 통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좋은 선장은 기상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할 줄 알고 그 힘을 소중히 여길 줄 안다. 선장은 가능한 한 폭풍우를 피하려고 하지만 어쩔 수 없이 폭풍우 속에 휩싸이게 되면 어느 때에 돛을 내려야 하며, 승강구를 닫아야 하며, 닻을 내려야 하며, 또는 어떤 물건들을 밖으로 내버려야 하는지를 잘 알아 통제할 수 있는 것들은 통제하고 통제할 수 없는 것들은 과감하게 버린다. 오랜 훈련과 실천 그리고 모든 종류의 기후조건에 대한 온갖 다양한 경험들이 이러한 기술을 개발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생살이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에 직면하여 효과적으로 다루어 나가는 기술을 개발시키는 데 있어서도 삶의 모든 면을 의식해 가는 기술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P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마음이 움직일때 마음은 욕구를 따라간다.내 마음을 아는것은 나의 감정과 욕구와 연결되어 있다.

만약 당신이 평화로움과 이완된 느낌을 가지고 있다면 어째서 당신 마음이 그처럼 안정된 존재에 대해 쉽사리 싫증을 느끼고 또 당신의 몸도 불안정감과 불편감을 느끼게 되는지 의문을 가지게 될 것이다. 매 순간순간을 무엇으로 채우려 하고 충동 뒤에는 무엇이 있으며, 또는 마음이 ‘비었다‘고 느끼는 순간마다 무언가를 하기 위해 마음이 도약하는가 하면 뒤를 향해 되돌아가도록 하면서 계속 바쁘게 움직이게 하는 것은 어떤 일인가? 마음과 몸을 가만히 있지 못하게 충동질 하는 것은 도데체 무엇인가?

- 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관찰함으로서 감각을 맹목적으로 맞지않음.

상카라는 정신적 반응들 뿐만 아니라 그 반응들의 결과까지도 의미한다.  인생에서의 경험하는 모든 것은 열매, 자기 행위의 결과이다.

83 여러분이 고통과 즐거움을 밀기도 하고 당기기도 하는 게임에 빠져있는한 마음은 분주하게 돌아다니며 괴로움을 증가시킨다. 감각을 자신과 동일시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배울 때, 맹목적으로 반응하여 자신의 고통을 증식시키는 오래된 습관은 약화되어서  사라질 것이기에 관찰하는 법을 배운다.

- P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챙김 명상하는 법
호흡을 닻으로 보고 떠나면 다시 돌아 오는 기준이 된다.


호흡을 일종의 닻(anchor)으로 사용해보라. 마음속에 일어나는 무엇이든 살펴보라. 생각이나 느낌, 소원이나 계획, 상상과 기억들이 왔다가 사라져버리는 것을 살펴보라. 그것이 무엇이건 상관하
지 말고 내버려두라. 잡으려 하지도 말고, 다투려 하지도 말고, 끌려가지도 말라. 열려 있는, 깨어 있는 마음의 공간 속으로 무엇이 지나가든 오직 그것을 수용하겠다는 마음을 가진 채, 호흡 속에
머물고 있으면 평화로운 느낌이 더욱 커질 것이다.

■ 마음속에 나타나 지나가는 것들은 모두 변화하는 성질이라는 것을 알아차림 하라. 의식의 공간 속에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어떤 것에 붙잡혀 있을 때 어떤 느낌이 드는가? 또는 붙잡은 그것을 내려놓았을 때는 어떤 느낌이 드는가? 지극히 평화롭고, 광대무변한 의식 그 자체를 알아차림 하라.

ㅁ 자기가 원할 때쯤 명상을 끝내라. 어떻게 느껴졌는지 주목하고 명상의 좋은 점을 취하라.

- 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