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안네 - 60년 만에 발견한 안네 프랑크에 관한 새로운 이야기
베르테 메이에르 지음, 문신원 옮김 / 이덴슬리벨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저자 베르테 메이에르는 가끔 안네가 생각난다 한다. 건너 이웃집에 살았던 안네가, 전쟁 막바지에는 같은 수용소에 수감되었던 그 소녀가 나처럼 살아남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묻고는 한다고 한다.

 

누군가가 꼭꼭 묻어두었던 일기를 읽는 건 호기심을 자극한다. <굿바이 안네>를 펼친 건 안네의 훗날이 궁금해서였다. 어릴 적 읽은 안네의 일기 속 안네는 밝고 착하고 예뻐서 그렇게 떠나보내기에는 너무 안타깝고 슬픈 주인공이었다. 그땐 무조건 살아있기를 간절히 바라며 읽었는데, 유대인 소녀의 생존 일기를 읽고 나니 전쟁 속에서 살아남았다는 게 정말 운이라 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의문이 생긴다.

 

베르테 메이에르는 살아남은 또 다른 안네였다. 일곱 살 죽음의 기차에 아무렇게나 실리고 끌려가 가둬진 수용소에서 그녀는 평생을 따라다니는 참혹한 기억을 갖게 되었다. 살아남았지만 살아가는 방법은 몰랐다는 슬픈 고백을 시작으로, 비극이 펼쳐진 그 시절, 해방 후에도 해결되지 않는 비극의 상처 그리고 마침내 끔찍한 기억과 어떻게 타협하게 되었는지를 털어놓는다. 저자가 60여년 만에 의식 밖으로 가두려 애썼던 기억을 책으로 꺼낸데에는 이유가 있다. 전쟁은 그 자체로 없어져야 할 비참한 것이란 사실, 남은 정신적 외상은 절대 사라지지 않은 채 여전히 살아남은 자들을 괴롭힌다는 사실을 전하기 위해서다.

 

가장 슬픈 건 기억 속 나날에는 유대인이란 정체성을 놓고 고민하고 괴로워한 흔적이 가득하다는 점이다. 행복이 뭔지 모른 채 그저 수용소의 비참한 기억과 싸우는데 집중하고, 몰려오는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의아심을 극복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전쟁의 결말 앞에서 용서와 화해는 무의미한 것이라 말하는 고백이 너무도 담담하여 더 서글프다.

 

슬프지만 읽어봐야할 정말 좋은 책이다. 전쟁을 겪지 않은 사람은 이해하기 어려운 타격이고 상처라해도 지금도 누군가는 전쟁 한복판에 서있으며 치료할 수 없는 상처는 끊임없이 현재도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모두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