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철학 백과사전 - 만화보다 더 재미있는 철학 이야기 세계철학 백과사전 1
샤를르 페팽 글, 이나무 옮김, 쥘 Jul 그림 / 이숲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철학은 역발상과 어울리는 말이다. 시대를 지배하는 정신에 난제에 도전한 철학자들은 고민하고 생각하는 사람들이었다.

 

이 사람들의 사유를 사상이라는 딱딱한 말을 써가며 머리로 외우고 싶지는 않다. 발상의 흐름을 따라가는 재미를 느끼고 싶다. 그에 어울리는 책이 뭘까? 하다가 발견한 이 책. 거창하게 백과사전이란 제목이 붙여있다.

 

몇 백 페이지의 책 한 권에 동양 철학자들 몇몇을 비롯해 유명한 서양 철학자들을 한 자리에 모셔 놨으니 백과사전이라 부를만하다. 이 책이 돋보이는 이유는 방대한 백과사전을 몇 컷의 만화로 그렸다는 점이다.

 

책을 쓰고 그린 두 인문학자의 기발한 발상은 철학에 접근하는 방법에 재미를 살린다. 플라톤을 동굴이란 나이트클럽의 주관자로 내세워 그의 이데아를 익살스럽게 표현하고, 에스프레소와 설탕도 세계의 우연으로 만들어진 기적이라며 모든 것을 다 가진 냥 흐뭇해하는 에피쿠로스를 혼자 잘난 척한다고 말한다.

 

붓에 잘 매달려라. 사다리 치운다. 하고는 정말 사다리 치워버리고 헤헤거리는 에라스뮈스를 풍자한 그림도 탁월하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모습은 어떤가. 이성으로도 신을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한 사람답게 신앙에 이성의 옷을 껴입고는 변신한다.

 

이들이 한 장의 만화 안에 담은 촌철살인은 철학자들의 생각을 이해해주는 키워드처럼 작용한다. 철학자들은 이렇게 저렇게 주장했습니다, 하고 설명하기보다는 칠판 한 가운데다가 핵심 키워드를 적어 이게 무얼 뜻하는 걸까요? 왜 이렇게 말했을까요? 묻는 방식이다.

 

생각할 거리를 던져 준 다음, 재치 있는 해설을 뒤에 붙인다. 또 좀 더 체계적으로 알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부록을 마련하여 철학자들의 생애와 철학을 요약해 놓는다.

 

요즘 읽은 책들에서는 고전을 읽어야 하는 당위성을 인문이 모든 학문의 기본이라는 말로 설명한다. 그러고서 원문으로 보면 좋겠지만 번역서도 나쁘지 않다고 덧붙인다. 맞는 말이다. 근데 정신적 훈련 없이 무작정 덤빈다면 관심이 부담으로 작용될 것이다. 그래서 수준에 맞는 책이 낫겠다 싶다. 그런 의미에서 선택한 <세계철학 백과사전>. 서양 철학 입문서로 적격이다. 고전을 읽으면서 이해가 안 될 때 참고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